先 예술단, 後 평창올림픽 남북회담 여는 이유···北 체제선전 노리나?
北 선수단 20명 안팎 소규모…예술단 규모키워 위상제고
평창올림픽 차관급 실무회담 17일 10시 평화의 집 개최
北 선수단 20명 안팎 소규모…예술단 규모키우 위상제고
평창올림픽 차관급 실무회담 17일 10시 평화의 집 개최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와 관련한 제반 사항을 논의할 남북 평창 실무회담이 17일 개최된다.
통일부에 따르면 북측은 평창올림픽 참가와 관련한 실무회담을 17일 오전 10시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에서 개최할 것을 제안했다.
이는 우리 정부가 지난 12일 천해성 통일부 차관을 수석대표로 하는 실무회담을 15일 오전 10시 평화의 집에서 열자고 제의한 데 대해 이틀 뒤인 17일로 수정제의한 내용이다.
북측은 이날 전종수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을 단장으로 3명의 대표단을 파견한다는 방침이다. 우리측은 앞서 천해성 통일부 차관을 수석대표로 하는 3명의 대표단을 통지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천 차관과 전 부위원장을 중심으로 한 '통통라인(통일부·조평통)'이 회담 테이블에 마주 앉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 정부는 앞서 지난 12일 북측 평창올림픽 관련 실무회담을 15일 오전 10시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에서 열자고 제의했으나, 북측은 예술단 파견 접촉으로 형식을 제한하고, 장소를 북측 통일각으로 역제안했다.
이에 따라 남북은 평창올림픽 북측 예술단 파견 논의를 15일 우선 진행했다. 이 가운데 북측이 평창 실무회담을 이틀 뒤인 17일 개최하자고 제안하면서 올림픽 전반에 대한 논의가 이어질 전망이다.
북측의 이 같은 결정은 평창올림픽 파견단 중 예술단에 가장 큰 비중을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한 기술적 준비가 많이 필요해 별도로 먼저 제안한 것으로 정부는 판단하고 있다.
북측은 지난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고위급 대표단과 함께 민족올림픽위원회 대표단, 선수단, 응원단, 예술단, 참관단, 태권도시범단, 기자단을 파견하기로 했다. 이 가운데 동계올림픽 기반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북측이 예술단을 중심으로 파견단을 내세울 것으로 보인다.
북측 선수단 규모는 선수 10명과 임원 10명을 포함해 총 20여 명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예술단 규모를 키워 방문단 위상을 높이겠다는 것으로도 풀이된다.
실제 북측은 평창 동계올림픽에 140여 명 규모의 '삼지연 관현악단'을 파견해 공연하기로 했다.
특히 평창올림픽이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공연장 무대 설치와 구성, 연습 등에 시간이 촉박해 이와 관련한 논의를 우선 진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파견 규모부터 공연 내용, 동선, 중계 여부 등 실무적 점검 사안이 산적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정부는 북측의 평창올림픽 참가와 관련 정부 합동지원단을 구성해 관련 사항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