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4차 산업혁명 인재 양성 혁신선도대학에 100억 지원


입력 2018.01.15 14:12 수정 2018.01.15 14:12        이선민 기자

5개 권역, 10개교 지정하여 교당 10억 씩 지원

교육부가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10개교에 10억 씩 100억을 지원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5개 권역, 10개교 지정하여 교당 10억 씩 지원

교육부가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이하 ‘LINC+’)사업의 하나로, 2018년도부터 신규로 추진하는 “4차 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지정 및 운영계획”을 확정·발표했다.

2018년 혁신선도대학 사업의 지원 예산 규모는 총 100억원으로, 총 10개교를 선정하여 교당 10억 원 내외를 지원할 예정이다.

기존 LINC+ 일반대 산학협력고도화형 선정 대학(55개교)을 대상으로 신청서를 제출받아, 서면 및 대면평가 등을 거쳐 최종 선정한다.

앞으로 지정될 ‘혁신선도대학’은 4차 산업혁명 유망 신산업 분야에 대응하는 융합지식과 4C능력을 갖춘 문제해결형 인재양성을 위한 대학 내 교육과정과 교육환경의 혁신을 추진하게 된다.

4C 능력이란 비판적 사고력 Critical Thinking, 소통능력 Communication, 창의력 Creativity, 협업능력 Collaboration을 뜻한다.

교육부는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대학교육 혁신을 위해 전문가와 학계 그리고 LINC+ 참여대학 등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산학협력과 공학교육을 중심으로 추진하는 LINC+ 사업 내 신규 사업으로 추진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아울러 LINC+ 수행대학 중 역량있는 대학들을 우선 선정·지원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지속가능한 대학교육 혁신 선도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타 대학으로 확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혁신선도대학은 기존 정규 교육과정을 4차 산업혁명 친화적 커리큘럼으로 개편하여 혁신적 교육과정을 도입한다. 또한, 학과 간 교육과정을 개방하고 공유하여 학생의 자발적‧선택적 융합 학습 기회를 확대한다.

교육 또한 온라인 공개강좌를 통한 온‧오프라인 연계 교육, 거꾸로 학습(Flipped Learning), 프로젝트 기반 수업(PBL) 등 혁신적 수업방법을 확산한다.

교육 당국은 혁신 교육과정 운영 및 프로젝트 기반 수업(PBL) 등 새로운 교수법 적용 및 시설과 기자재를 선진화하고 실험실과 강의실 환경개선과 같은 물리적 환경을 개선함과 동시에 교육과정 개발과 교수법 혁신 활동 실적을 교원 업적평가에 반영하고 학사제도도 유연화하는 제도적 환경 개선도 추진할 계획이다.

김영곤 교육부 직업교육정책관은 “이번 혁신선도대학 지정을 통해 앞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핵심 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으로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데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향후 혁신선도대학의 교육 모델이 타 대학으로 퍼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이선민 기자 (yeatsm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선민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