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구 "은행 가상계좌, 범죄·불법자금 방조·조장 우려…현장조사서 점검"
8일 가상통화 관련 기자간담회서 가상통화 발급 6개 은행 겨냥 발언
"내부통제 여부서 식별 절차, 자금출처 등 집중 점검…위반시 제재"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8일 최근 투기열풍이 심화되고 있는 가상통화 거래와 관련해 은행들이 수익만을 쫓아 무분별하게 가상계좌를 발급한 것은 아닌지 철저히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최 위원장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가상통화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가상통화 거래는 익명성과 비대면성으로 인해 범죄, 불법자금 은닉 등 자금세탁에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며 "특히 실명확인이 어려운 은행의 가상계좌 서비스를 이용해 이뤄지고 있어 범죄 및 불법자금의 유통을 방지해야 할 은행이 오히려 이를 방조하고 조장한다는 우려도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은행권을 대상으로 한 현장점검 역시 가상통화 거래소와의 거래에서 위험도에 상응하는 높은 수준의 조취를 취했는지 여부를 중점 점검할 것"이라며 "은행 들 역시 충분한 검토 없이 수익만을 쫓아 무분별하게 가상계좌를 발급한 것은 아닌지 내부의사 결정 과정을 철저히 점검해 달라"고 밝혔다.
금융당국은 이에따라 가상통화 거래소에 의한 자금세탁 위험을 평가하고 실사를 적정하게 했는지 등 내부통제 여부서부터 거래소 식별 절차 마련, 거래소 자금 출처와 의심 거래 보고에 관한 사항을 집중 점검한다는 방침이다.
또 실명확인 시스템 운영과 관련해서는 입금계좌와 가상계좌의 명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전산시스템 운영 여부와 거래소가 제공하는 이용자 정보를 신뢰할 수 없는 경우 거래거절 등 절차를 운영하는지 여부 등을 점검하기로 했다. 당국은 이번 현장점검을 통해 관련 법령을 위반한 사실이 적발될 경우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최 위원장은 "가상화폐의 가치는 어느 누구도 보장하지 않는다"며 "가격 급변동으로 손실이 크게 발생할 가능성이 큰 만큼 자기 책임 하에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투자자들에 대한 신중한 판단을 당부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