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고위급회담 D-1] 조명균 “이산가족·군사긴장 완화 문제도 준비”
9일 25개월만 남북회담 개최…의제·시간 미정
평창 참가 외 이산가족·긴장 완화 테이블에?
청와대 국가안보실·외교부·국정원·국방부 협의체제갯
"평창 등 남북관계 개선 관련 내부 준비시간 가질 계획"
8일 남북 고위급 당국회담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정부가 최종 모의회담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통일부는 아직 확정되지 않은 회담 시간과 일정 등 세부사항을 판문점 연락채널을 통해 협의해 갈 방침이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이날 "워낙 중요한 시기에 열리는 회담이고 국민들이나 국제사회의 관심도 많은 만큼 성실하게 준비해 회담에 임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남북회담에 대한 각오를 전했다.
조 장관은 "평창올림픽·패럴림픽 북한 참가와 관련해 논의를 집중하겠다"며 "남북관계 개선을 논의하는 과정에서는 이산가족 문제나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는 문제를 함께 논의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북측은 금강산 관광과 개성공단 재개 등을 의제로 꺼낼지 주목된다.
아울러 장웅 북한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이 북측의 평창올림픽 피겨스케이팅 페어 종목 출전 여부에 대한 질문에 '참가할 것 같다'고 답한 것과 관련해 북측 참가에 맞게 준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부는 앞서 주말동안 남북회담 대표단 구성을 완료하고 관련 사항을 점검·조율해왔다.
조 장관은 천해성 통일부 차관과 노태강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 등 우리측 대표단이 모여 회담 대책을 협의했다고 밝혔다.
북측에서는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장을 단장으로 하고 전종수 조평통 부위원장, 원길우 체육성 부장, 황충성 조평통 부장, 리경식 민족올림픽조직위원회 위원 5명의 대표단을 구성했다.
우리측은 통일부를 비롯한 문체부, 평창올림픽 조직위 인사가 나서고, 북측은 조평통을 비롯한 체육성·올림픽조직위 인사가 주로 구성되면서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와 관련한 안건이 우선순위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또 양측이 남북관계 개선 문제를 강조한 만큼, 이산가족 문제나 군사적 긴장 완화 논의가 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회담에 앞서 전략회의, 기획단회의, 모의회의 등 회담 준비를 차질없이 진행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오늘 회담 성사와 관련해 북측의 입장을 받거나 회신해야 하는 상황은 없다"며 "'평창'을 포함해 남북관계 개선과 관련한 내부 준비 시간을 가질 계획"이라고 전했다.
통일부는 회담 대표단을 중심으로 모의회담을 진행하는 한편 청와대 국가안보실·외교부·국가정보원·국방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를 이어간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