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우리은행장 예기치 않은 공백...'관치 회귀' 커지는 우려


입력 2017.11.08 06:00 수정 2017.11.08 06:16        이미경 기자

예보서 임추위 구성에 참여여부 검토 논란

행장선출 정부 개입 땐 민영화 후퇴 불가피

예보서 임추위 구성에 참여여부 검토 논란
행장선출 정부 개입, 우리은행 우려 고조


현재 우리은행 1대 주주인 예금보험공사(예보)측 대표가 우리은행 차기 행장을 선임하는 임원추천위원회(임추위) 구성에 참여할지 여부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우리은행

채용비리 후폭풍에 어수선한 우리은행이 또 다시 관치 논란에 휘말릴 태세다. 금융권 첫 과점주주 체제로 주목을 받았지만 정부가 다시 우리은행 경영에 개입할 가능성이 커지면서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재 우리은행 1대 주주인 예금보험공사 대표가 우리은행 차기 행장을 선임하는 임원추천위원회(이하 임추위) 구성에 참여할지 여부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차기 행장을 선임하기 위한 임추위는 5개 과점주주(한화생명, 한국투자증권, 키움증권, 동양생명, IMM PE)를 대표하는 사외이사 5명으로 구성돼있다.

현재 예보는 우리은행 지분 18.5%를 보유하고 있지만 자율경영을 보장한다는 의미에서 그동안 임추위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예보가 지난해 말 민영화에 첫발을 딛은 우리은행 행장 선임에 대한 의견을 내는 것 자체가 정부의 자율경영에 대한 약속을 스스로 뒤집는 모양새라 논란이 예상된다.

예보 측에서는 아직 임추위 참여가 확정되지 않았다며 부인하고 있지만 당장 우리은행의 1대 주주로서 권리를 행사하겠다고 나오면 이를 막을 방법이 없다는 것이 금융권의 중론이다.

지난 5일에 우리은행의 임시 이사회가 진행됐지만 임추위 구성 논의는 아직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행장 선임의 결정권을 갖고 있는 사외이사들은 예보의 참여 가능성을 놓고 동요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예보 관계자는 "행장 선임은 이사회 의결 사항이기 때문에 지분이 더 많다고 해서 결정권한이 더 많지 않다"며 "이사회에서 다수가 결정하는 사람이 결국 행장이 되는 것"이라고 사실상 예보의 임추위 참여 가능성을 열어뒀다.

이번 임추위 구성에 예보가 참여하게 된다면 이사후보 선임권에 적극 의사를 개진할 가능성이 높은만큼 낙하산이 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사실상 완전민영화가 아닌 관치로 다시 회귀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같은 가능성이 점쳐지자 우리은행의 완전 민영화가 결국 물거품이 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곳곳서 제기됐다. 사외이사는 물론 현재 5.6%의 지분을 보유한 우리사주조합, 노조 측에서 예보의 참여에 대한 반대 입장을 내놓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행장 선임절차에 정부가 관여를 하기 시작하면 우리은행의 완전민영화의 길도 당분간 중단될 가능성이 높다"며 "그동안 민영화 수순을 밟아온 우리은행의 노력이 물거품으로 돌아가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현실적으로 우리은행의 완전민영화에 대한 공은 여전히 금융위원회 산하 공적자금관리위원회에 달려있는 만큼 정부의 입김에서 여전히 자유롭기 힘들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예보의 잔여지분 매각과 지주회사 전환이 우리은행의 의지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 금융권의 전반적인 견해다. 때문에 이번 행장 선임에서 예보가 임추위에 참여하게 되면 향후 우리은행의 경영 전반에 대한 정부의 간섭이 지속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런 가운데 그동안 우리은행 잔여지분 매각이 신속히 이뤄지지 않고 있는 이유가 정부의 매각 의지가 크지 않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제기됐다.

우리은행 노조관계자는 "예보가 과점주주한테 주식팔면서 경영참여안하겠다고 선언했는데 이제와서 딴소리한다"며 "금융환경은 급속도로 바뀌는데 바닥까지 떨어진 신뢰 회복과 함께 신속한 경영정상화를 위해선 정부의 무분별한 간섭은 지양해야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의 간섭이 시작되면 낙하산 행장도 올 가능성이 없지 않다"며 "외부출신의 행장이 선임된다고 하면 단기간안에 업무 파악하고 조직을 끌고 가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미경 기자 (esit91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미경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