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청산' 자유한국당 내홍 심화…친박계 반격 본격화
최고위 두고 갈등 증폭…친박파 "홍 대표 사퇴하라"
자유한국당이 친박 청산 작업을 추진하면서 지도부와 친박계 간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그동안 침묵을 지키던 친박계는 인적 청산에 강경한 의지를 밝힌 지도부에 맞서 총반격에 들어갔다.
한국당은 다음 달 3일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박근혜 전 대통령 제명안의 의결을 시도할 예정이다. 앞서 당 윤리위원회는 박근혜 전 대통령과 친박계 인사인 서청원·최경환 의원에게 자진 탈당을 권유키로 의결했다. 윤리위 결정만 있어도 제명할 수 있지만 추후 법적 논란을 피하기 위해 최고위 논의를 거치기로 한 것이다.
문제는 당초 절차상 명분을 더하기 위한 성격에 가까웠던 최고위 회의가 오히려 당내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는 점이다. 친박계가 의결권을 행사할 최고위원 9명 가운데 친박계와 비박계의 비율이 엇비슷하게 구성된 점을 고려해 "최고위도 의결 절차를 밟아야 한다," "출당안 부결 시 홍 대표가 물러나라"는 등 목소리를 내고 있다.
현재 한국당 최고위원 9명 가운데 홍 대표와 그의 측근인 이종혁 최고위원, 보수 대통합 추진위원회(통추위)에서 활동하는 이철우 최고위원 등 3명은 출당 찬성파, 김태흠·이재만 최고위원은 출당 반대파로 분류된다. 나머지 4명 가운데 정우택 원내대표와 친박 태극기 집회에 참여한 류여해 최고위원은 출당 반대파로, 이재영 최고위원은 출당 찬성파로 속할 가능성이 있다.
박 전 대통령의 경우 최고위 의결만으로 최종 제명 처리가 가능하지만, 현역 의원인 서청원·최경환 의원을 제명하기 위해서는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의 동의가 필요한 만큼 진통이 예상된다.
당장 친박계는 홍 대표에게 거세게 저항하고 있다. 김태흠 최고위원은 "당 윤리위원회의 박근혜 전 대통령과 서청원·최경환 의원에 대한 징계를 서둘리 처리하는 것에 반대한다"며 "당의 중요 사안에 대해 당 대표가 독단으로 결정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했다.
친박계인 박대출 의원도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출당 조치는 '현대판 고려장'"이라며 "정치적 책임을 물어 당적을 강제로 정리하는 것은 정치 도의적으로, 인간적으로 너무나 가혹하다. 박 전 대통령 당적 문제는 본인에게 맡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의총 개회권을 쥔 정우택 원내대표도 홍 대표를 향해 쓴소리를 했다. 정 원내대표는 "윤리위에서 하루아침에 갑자기 내쫓듯이 출당 조치를 취하면 분명히 상대방에선 반발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
최고위 의결이 당헌·당규상으로 윤리위의 결정을 번복할 수 있다는 규정은 없지만, 홍 대표의 향후 당 장악력과 바른정당 탈당파의 한국당 입당 여부 등을 가늠할 지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박 전 대통령이 출당될 경우 바른정당 내 통합파 일부가 한국당에 합류하고, 이후 홍 대표가 서·최 의원을 제명하기 위한 의총을 개최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