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4 가계부채 대책]김동연 "'가계부채' 문제 긴 호흡 필요…매년 최대 1%p 줄일 것"
24일 가계부채 종합대책 합동 브리핑서 가계부채 '세심한 관리 필요성' 언급
김 부총리 "최근 2년 간 두 자리 증가세에서 8% 내외로…질적 구조 개선도"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4일 최근 2년 간 두 자리 수 증가율을 보이고 있는 국내 가계부채 증가세를 8% 수준까지 점진적으로 감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 부총리는 이날 오후 서울정부청사 3층 브리핑에서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 부처 합동으로 진행된 가계부채 종합대책 관련 브리핑에 참석해 "총량 측면에서 가계부채문제는 단시간 내 해결될 수 있는 사안은 아니다"라고 평가한 뒤 시간을 두고 연착륙을 유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 부총리는 이 자리에서 "그간 가계부채의 질적구조는 개선돼 당장 시스템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지만 여전히 GDP 대비 규모가 큰데다 빠른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여기에 본격적인 금리인상 국면에 접어들 경우 금리변동에 취약한 고위험가구 및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이 가중될 가능성도 있다"며 세밀한 가계부채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총량 측면에서의 가계부채 연착륙을 위해 김 부총리는 내년 1월부터 새로운 DTI제도 시행과 제도개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서민 및 실수요자들을 위한 보완장치 등을 마련하겠다는 뜻도 함께 밝혔다.
김 부총리는 "이같은 리스크 노력을 바탕으로 향후 가계부채 증가율을 매년 0.5%에서 1%p까지 낮출 것"이라며 "최근 2년 간 두 자리 수 증가에서 8%대 내외의 증가로 연착륙을 유도하는 한편 고정금리와 분할상환 대출 비중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등 질적구조를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