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여야, 개천절 맞아 "민생 정치와 협치" 한목소리


입력 2017.10.03 11:59 수정 2017.10.03 12:10        이동우 기자

'홍익인간' 개국이념 되새겨야 한 목소리

개천철을 맞은 3일 여야는 홍익인간 정신을 바탕으로 민생 정치와 협치를 다시 한 번 강조했다.(자료사진)ⓒ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개천철을 맞은 3일 여야는 홍익인간 정신을 바탕으로 민생 정치와 협치를 한목소리로 강조했다.

정부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국회가 당리당략이 아닌 민심을 받들고 민생만을 위한 정치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백혜련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당리당략이 아닌 민생만을 위하는 정치를 하는 것만이 단군조선의 개국이념을 실천하는 길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라며 "'홍익인간 이화세계'의 개국 이념은 오늘의 우리 사회에도 반드시 필요한 가치"라고 설명했다.

백 대변인은 "소수의 기득권 세력이 아닌, 국민 모두를 이롭게 하고 무소불위의 초법적 권력이 아닌, 국민으로부터 견제받는 권력과 헌법 정신에 기반한 대한민국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은 이날 "온 국민이 천하 대란의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며 문재인 정부에 위기 극복을 위한 야당과의 협치를 촉구했다.

강효상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우리 민족은 그동안 수많은 난관 속에서도 홍익인간 정신으로 역경을 헤쳐 왔다"며 "하지만 작금의 현실은 온 국민이 천하 대란의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문정인 청와대 특보 등 코드인사와 부적격 인사로 채워진 외교·안보라인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 도발에 대화와 평화만을 구걸해 5천만 국민을 핵 인질로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강 대변인은 "이와 같은 엄중한 위기 속에서 단기 4349년 개천절은 그 어느 때보다 한반도 평화 수호와 발전을 위한 민족의 의지를 더욱 굳건히 하면서 그 의미를 되새겨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에 "지금이라도 국가운영의 방향을 전면적으로 수정하고 야당과의 진정한 협치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손금주 국민의당 수석대변인도 이날 논평을 통해 "제4349주년 개천절을 맞아 홍익인간의 개국이념을 되새겨 청와대와 여야 정치권이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 수석대변인은 "남북이 그 어느 때보다 경색돼있고 한반도 평화가 위태로우며 사회 양극화와 갈등으로 대한민국이 신음하는 지금,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하고 이치로 세상을 다스리는 대한민국'이 될 수 있도록 청와대와 여야 정치권이 모두 노력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련의 역사 속에서도 강인한 의지로 민주주의를 지켜내고, 세계 속의 대한민국으로 일으켜 세운 자랑스러운 국민과 함께 오늘의 의미를 기린다"고 밝혔다.

바른정당은 배제와 배척, 분열이 아닌 진정한 홍익인간의 정신을 되새길 것을 문재인 정부에 촉구했다.

이종철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이전 정부의) 배제와 배척이 낳은 적폐의 어두운 이면을 들추며 또다시 배제와 배척의 극단을 향해 질주하는 이 정부에 진정한 적폐청산과 홍익인간의 대동세상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잘못은 바로잡고 제도의 개혁으로 완성해야 하겠지만, 탄핵의 고통을 꿋꿋이 감내하며 세운 새 정부에 바란 것은 이런 분열과 낡은 쟁투의 나라가 아니었다"며 "신적폐가 구적폐를 넘고, 신악이 구악을 능가한다"고 비판했다.

이 대변인은 "단군성조의 후손은 위대했던 만큼 못난 정치와 타락한 권력을 국민이 바로잡아 줄 것이라 믿는다"며 "개천절을 맞아 진정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함'이 무엇인지 위정자들은 명심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최석 정의당 대변인도 논평을 내고 "수많은 국민이 국가의 존재 이유를 묻는 현실에서 개천절은 하늘의 뜻을 다시금 되새기게 한다"며 "국민의 손에 들린 촛불이 대한민국의 희망을 알려주었듯 우리는 자유와 평등, 인간의 존엄을 짓밟는 모든 형태의 적폐와 싸워 반드시 이길 것"이라고 말했다.

이동우 기자 (dwlee99@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동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