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리용호 연설, 국제사회에 대놓고 협박" 한목소리로 비난
여야는 24일 북한 리용호 외무상의 유엔총회 기조연설과 관련해 한 목소리로 비판했다.
더불어민주당 백혜련 대변인은 이날 서면 논평에서 "국제사회를 상대로 대놓고 협박하겠다는 것으로, 변화 없는 북한의 태도는 국제사회로부터 외면과 고립만 자초할 것"이라고 밝혔다.
백 대변인은 이어 "유엔 총회에서 원색적인 막말과 비방만 늘어놓으며 평화를 위협하는 연설에 대해 북한은 국제사회에 사과해야 할 것"이라며 "국제사회는 북한의 주장을 명분 없는 궤변으로 판단해 어떠한 동조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핵 개발로 정권을 유지하고 이익을 가져오려는 북한의 전략은 반드시 실패할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며 "북한이 주장한 '국제적 정의의 실현'은 무모한 도발이 아닌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책임 있게 행동하는 것만이 유일한 길임을 명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국민의당도 "세계 평화를 위한 유엔총회가 갈등 유발의 장이 돼버렸다"며 "북한이 유엔총회 연설에서 대북 선제타격 조짐을 보일 경우 미국 등에 먼저 핵이나 미사일 공격에 나서겠다고 협박했다"고 지적했다.
손금주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무슨 일이 있어도 한반도가 북미 간 자존심 싸움을 위한 희생양이 돼선 안 된다"며 "말로 주고받는 설전이 우발적인 도발, 물리적 충돌로 이어지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손 대변인은 이어 "북한의 움직임에 그 어느 때보다 예민해야 한다"며 "문재인 대통령은 국군 통수권자로서 북한과 미국의 '강대 강' 충돌과 우발적 도발가능성에 대처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바른정당 전지명 대변인은 "유엔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를 위반한 당사자가 이를 거부하고, 핵무기 보유 정당성을 주장한다는 것은 억지와 생트집에 불과한 적반하장의 극치"라며 "국제사회와 한판 대결이라도 붙겠다는 듯 막무가내로 치닫고 있는데, 스스로 무덤을 파는 격"이라고 날을 세웠다.
전 대변인은 문재인 정부의 대북제제에 대한 확실한 판단을 내릴 것을 촉구하며 "불확실성이 북의 오판을 부를 경우 리 외무상이 발언한 '선제적 예방조치'가 이 땅에서 벌어질 수 있음을 문재인 정부는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리 외무상은 23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 72차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트럼프는 상식과 정서가 온전치 못한 데로부터 우리 최고 존엄을 로켓트와 결부하며 모독하려고 하였지만, 오히려 그는 전체 미국땅이 우리 로케트의 방문을 더더욱 피할 수 없는 만회할 수 없는 과오를 저질렀다"고 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