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옹성 재무관료 맞설 수장 필요" 금감원 노조, 김조원 내정설에 '반색'
4일 성명 통해 환영의 뜻 밝혀 "경력 부족 불구하고 내부선 기대감 더 크다"
"철옹성같은 재무관료 대항해 소신 말할 수 있어야…분위기 쇄신도 기대"
금융감독원 노동조합은 4일 김조원 전 감사원 사무총장의 금감원장 내정설과 관련해 조직을 혁신할 적임자라며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금감원 노조는 이날 공식성명을 통해 "참여연대 등 일각에서는 금감원장으로 내정된 것으로 알려진 김조원 씨의 금융 경력 부족을 문제삼고 있으나 정작 내부 직원들의 분위기는 오히려 그 반대"라며 "이처럼 김 내정자의 경력 부족에도 불구하고 직원들이 블라인드 등 각종 SNS 게시판을 통해 우려보다 기대감을 표시한 이유가 무엇인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노조는 "흔히 감독기구는 위기가 오기 전 경고를 하기 위한 의미의 와치독(watch-dog)으로 비유되나 지난 10년 간 금감원은 이러한 본연의 임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라며 "그 사이 가계부채는 1400조원을 돌파했고, 해운·조선업 구조조정 문제가 발생했지만 금감원은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이어 "감독당국이 금융시장 안정과 금융소비자 보호라는 본연의 임무를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당국의 수장이 철옹성같이 견고한 재무관료에 대항해 자신의 소신을 말할 수 있어야 한다"며 "공직생활의 대부분을 감사원에서 보낸 김조원 내정자의 경력이라면 금감원이 이러한 와치독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이는 결코 재무관료나 금융업계 출신은 하기 힘든 부분"이라며 기대감을 숨기지 않았다.
또한 이같은 조직혁신을 통해 금감원 내부의 어수선한 분위기 역시 다잡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 또한 표출했다. 노조 측은 "그동안 금융당국 출신 수장들은 조직 장악의 일환으로 보험과 은행, 증권 등 금융권역 간 반목을 교묘히 이용한 측면이 없지 않았다"며 "이로인해 금융위에 협조하는 일부 인사들이 생겨나고 그 댓가로 승진을 거머쥐는 참사가 빚어졌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결국 내부 조직쇄신과 세대교체를 위해서는 금융위의 압력을 견디고 소신인사를 할 수 있는 인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편 노조 측은 최근 북핵 도발과 가계부채 등 국내경제 곳곳에 암초가 도사리고 있는 만큼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차기 금감원장 인사가 확정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인규 금감원 노조위원장은 "국내경제에 있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인 만큼, 수장 인사를 신속하게 확정짓고 본연의 금융 감독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