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문재인정부 100일] 정치권 웃고 울게 한 '문재인 어록'은?


입력 2017.08.13 06:03 수정 2017.08.13 16:11        문현구 기자

첫 어록 "지지하지 않았던 국민도 저의 국민"

'여소야대' 해법, 대통령 자세 전환 절실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으로 당선된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5월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로텐더홀에서 가진 취임식에서 선서를 하고 있다. ⓒ국회사진취재단

조기 대선으로 제 19대 대통령에 오른 문재인 대통령. 취임 일성은 국민 통합과 협치였다. 취임 자리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오늘부터 저는 국민 모두의 대통령이 되겠습니다. 저를 지지하지 않았던 국민 한분 한분도 저의 국민이고 우리의 국민으로 섬기겠습니다"라고 밝혔다.

이는 '여소야대' 정국으로 시작하는 새 정부에 있어서 정치권을 향한 메시지이기도 했다. 취임 첫 날 야당 당사를 찾는가 하면, 취임 열흘도 안 돼 여야 지도부와 회동했다.

문재인 첫 어록 "지지하지 않았던 국민도 저의 국민"…실제 '협치 실종'

이러한 자세를 보이면서 문 대통령의 취임 한 달이 지난 시점만 하더라도 국민 10명 중 8명 이상이 문 대통령 국정 운영에 지지를 보냈지만 눈 앞에 놓인 상황은 녹록치 않았다.

'5대 비리' 인사 기준이 발목을 잡으면서 '1기 내각' 구성을 하는 과정 과정마다 고비를 넘어야 했다. '절차'를 강조하며 중단시킨 사드 배치는 현재 한반도 위기 상황에서 긴장감만 고조시키는 상황을 맞게 했다.

인사 청문회에서 꼬인 여야간 협치에 일자리 추경도 어렵사리 풀어가야 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6월 12일 현직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추가경정예산안 처리를 당부하는 시정연설에 나섰다. 일자리 추경 처리를 위해 마련한 자리였지만, 정치적 무게감은 인사 난맥상 풀기에 쏠렸다. 문 대통령은 연설 중 국회의 협력을 당부하는 대목에서 "함께 합시다"라고 수차례 강조했다.

하지만, 이날 시정연설은 물론 여야 지도부와 만남에서도 인사 난맥과 관련한 직접적 언급은 없었다. 이로 인해 한창 진행되던 장관급 후보자 인사청문회의 청문보고서 채택에 난항을 겪는 사례가 비일비재했다.

무엇보다 '반쪽 소통'이란 야권의 비판은 여전해 진정한 협치 실현의 시험대에 올랐다는 것이 정치권의 반응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6월 12일 오후 국회에서 첫 시정연설로 가진 '일자리 추경' 시정연설 중 자유한국당 의원들이 눈을 감고 있다. ⓒ국회사진취재단

단적인 사례로 송영무 국방부장관 임명 강행이 꼽힌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11일 송영무 국방부·조대엽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의 임명을 미루고 2~3일 동안 야당을 설득하는 시간을 갖기로 했다.

당시 추가경정예산안 처리 등 국회 정상화를 위해 마지막 협상이 필요하다는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의 요청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이떼 야당은 “장관 후보자 임명 연기는 꼼수”라고 반발하면서 지명 철회를 거듭 요구하고 나선 바 있다.

'일방통생' 인선 결과는 '인사참사'…'여소야대' 해법, 대통령 자세 전환 절실

그러자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야당이 다른 것은 몰라도 추가경정예산과 정부조직 개편을 인사 문제 또는 다른 정치 문제와 연계시키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라고 맞대응 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G20 회의를 마치고) 귀국해 보니까 국회 상황은 한 걸음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후 우여곡절 끝에 조대엽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는 낙마했지만 송영무 국방부장관 후보자는 끝내 대통령이 임명을 밀어붙였다. 여기에 추경안 역시 여당의 안이한 인식이라는 평가를 받은 국회 본회의 정족수 부족 사태까지 한때 일으켰다가 힘겹게 처리되는 과정을 거쳤다.

이처럼 문 대통령의 취임 100일 앞두고 정치권에 던진 '대통령의 어록'은 크게 두드러진 것은 없었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다만, 야권과의 공조 또는 협력이 필요한 사안이 발생할 때 야권에서 요구하거나 주장하는 부분에 있어서 미온적 태도로 일관했다는 것이 야권 측의 가장 큰 반발로 지적된다.

최근 박기영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자진사퇴하는 일을 겪으면서 정치권은 다시 한번 문재인 대통령의 책임잇는 사과를 요구하고 있지만 대통령의 반응은 특별하게 나오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 대통령의 국정운영 스타일에 비추어 볼 때 취임 100일을 앞두고 열리게 되는 기자회견 자리에서도 정치권에서 기대하는 '진정성 있는 사과'와 같은 '문재인 어록'의 등장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는 시각이 상당하다.

문현구 기자 (moonh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문현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