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용산 미군기지 주변 오염도 조사 직접 나선다
미반환 용산구·중구 소재 미군기지 주변 토양·지하수 오염도 조사
오염도 결과 공개·기준치 초과시 미국 당국에 공동조사 요청 방침
미반환 용산구·중구 소재 미군기지 주변 토양·지하수 오염도 조사
오염도 결과 공개·기준치 초과시 미국 당국에 공동조사 요청 방침
서울시가 아직 반환되지 않은 미군기지 주변 주변 오염도 조사를 직접 실시한다.
서울시는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함께 미반환된 용산구·중구 소재 6개 미군기지 주변 지역에 대한 토양·지하수 오염도 조사에 나선다,
앞서 지난 2001년 용산미군기지 앞 녹사평역 지하 터널에서 오염된 지하수가 지하수가 발견됐고, 2006년에는 캠프킴 길 건너 지하철 공사장에서 유출된 기름이 발견된 바 있다.
이에 시는 과거 오염 사고가 터졌던 곳 인근을 중점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미군 측 반대로 기지 내부조사가 어려운 만큼, 일단 주변 지역에 대한 오염도 조사부터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이번에 조사가 실시되는 대상은 △메인포스트 △수송단 △정보대 △니블로베럭 △8군 휴양소 △캠프모스 주변이다.
올해 말 용산미군기지의 이전·반환이 완료되기 전에 기지 내부 오염현황을 정확히 파악한 뒤, 정화 조치와 후속작업 등을 진행한다는 설명이다.
용산미군기지 주변의 지하수 오염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녹사평역 인근 지하수에서는 1급 발암물질인 벤젠이 기준치의 최고 587배까지 검출됐다.
서울시는 조사가 끝나는대로 오염도 결과를 공개하고, 기준치를 넘는 오염물질이 확인될 경우 미국 당국에 공동조사를 요청한다는 계획이다.
권기욱 서울시 물순환안전국장은 "용산미군기지 이전이 연말 완료 예정으로 내부 오염원에 대한 정화계획 수립이 시급하지만, 현재 오염 및 부지현황조차 제대로 파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전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