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북한 도발' 속에 여름휴가 떠나…야권 '부정적'
30일~8월 5일 '휴가'…"대처할 체계 있다" 강조
바른정당, "국민에게 자연스럽게 다가올지 의문"
문재인 대통령이 30일부터 다음달 5일까지 취임 후 처음으로 6박7일 여름 휴가에 들어갔다. 당초 지난 29일 출발할 계획이었지만, 지난 28일 밤 북한의 미사일 도발로 하루를 늦춘 상황이다.
문재인 대통령, 30일~8월 5일 '여름 휴가'…"휴가 중에도 대처할 체계 있다" 강조
문 대통령의 행선지는 강원도 평창과 경남 진해다. 문 대통령은 그동안 국무회의 등을 통해 ‘국내 농어촌 여름휴가’를 독려해왔는데 대통령 본인이 먼저 나선 모양새다.
첫 행선지인 강원도 평창은 6개월여 남은 평창동계올림픽에 대한 국내외 관심을 촉구하는 차원에서 선택됐다고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은 설명했다.
북한 도발 상황과 관련해선 청와대 측은 “휴가 중에도 북한의 추가 도발 등 비상 상황에 대처할 체계가 갖춰져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대통령의 휴가 시점을 놓고 정치권에서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기 시작했다.
바른정당은 북한의 ICBM(대륙간탄도미사일)급 미사일 발사 도발에도 문재인 대통령이 30일부터 6박7일 일정으로 여름휴가를 떠난 데 대해 “지금이 과연 휴가를 떠날 때인가”라고 비판적 시각으로 논평했다.
바른정당, 대통령 휴가 시점 비판적 시각…"국민에게 자연스럽게 다가올지 의문"
이종철 대변인은 30일 논평을 통해 “문 대통령이 휴가를 떠났다는 소식에 의아한 생각이 들었다”면서 “지금 한반도 상황은 역대 최대의 심각한 국면이다. 당장 어떤 사태가 벌어진 것은 아니더라도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한국은 물론 미국, 중국 등 국제사회에 매우 큰 파장을 낳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런 상황에서 북한의 도발에 대응한 지 단 하루 만에 문 대통령이 휴가를 떠난다는 게 과연 국민들에게 얼마나 자연스럽게 다가올지 의문”이라며 “상황에 따라 역대 대통령들은 자주 휴가 기간 관저에 머물곤 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대변인은 “문 대통령은 휴가 기간 국정 운영 구상 등에서 벗어나 휴식에만 집중할 것이라고 한다”면서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김정숙 여사와 조용하게 산책하고 쉬는 그런 시간을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는데, 대통령의 휴가도 필요하지만 뭔가 답답한 심정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싶다”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