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 극심' 7월 이후 일부 지역 생활용수 제한급수 실시
강릉시·동해시·속초시·영광군·공주시 등 5개 지역 대상
지하수 관정개발·운반급수 및 인근정수장 등과 비상연계 대책 추진
강릉시·동해시·속초시·영광군·공주시 등 5개 지역 대상
지하수 관정개발·운반급수 및 인근정수장 등과 비상연계 대책 추진
전국이 극심한 가뭄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가뭄이 계속 이어질 경우 강원·충남·전남 등 일부 지역의 생활용수 공급이 다음 달부터 제한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 누적 강수량은 186mm로 평년의 50%에 불과해 현재 경기·충남·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가뭄이 극심한 상황이다. 정부는 당분간 가뭄이 지속되는 것에 대비 가뭄대책을 추가로 발굴하고 가뭄극복에 총력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22일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전국의 553개 취수장 중 535개소는 60일 이상 용수공급이 가능하나 △강릉시 △동해시 △속초시 △영광군 △공주시 등의 5개 지역에 대해서는 가뭄이 지속될 경우 7월부터 용수공급 제한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이미 소규모 수도시설에 의존하는 인천 소평도·경기 광주시 등 도서 및 산간 일부지역은 현재 비상급수를 실시 중이다.
이는 지방상수도 취수원 저수율이 낮은 탓으로, 정부는 해당 5개 지역에 대해 지하수 관정개발, 운반급수 및 인근 정수장 등과 비상연계 등의 대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생활용수를 비롯 농업용수, 공업·댐용수 대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환경부는 지난 6월 1일부터 생활용수 가뭄상황반을 운영해 취수원 저수율 및 비상급수 상황 등을 일일 단위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이미 가뭄이 발생한 지역에 대해서는 인근 지자체 및 한국수자원공사 등과 협조해 병물 및 예비 급수차 지원 등으로 비상급수대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항구적인 가뭄대책으로는 유수율 제고를 위한 지방상수도 현대화 사업, 하수처리수 재이용 확대, 농어촌지역 지방상수도 확충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현재 국무조정실의 '통합물관리상황반'과 국민안전처의 '관계부처 합동 가뭄대책 TF'를 통해 매주 가뭄실태 및 대책을 점검하고 있으며, 가뭄피해 확산시 특별교부세 등 추가지원도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