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탕 제외한 모든 품목 오름세, 유제품과 유지류 가격 상승폭 커
설탕 제외한 모든 품목 오름세, 유제품과 유지류 가격 상승폭 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5월 세계 식량가격지수가 172.6포인트를 기록하며 직전 하락세에서 소폭 반등했다.
전달인 4월에 비해서는 2.2% 상승했으며, 작년 같은 달 보다는 10.2%(15.9p) 높은 수준이다.
설탕을 제외한 모든 품목의 가격이 올랐고, 그 중 유제품과 유지류 가격의 상승폭이 컸다.
지난해 9월 이후 안정세를 보였던 식량가격지수는 3월과 4월 두 달 연속 하락했다가 5월에는 소폭 상승했다.
곡물은 전달 보다 1.4% 상승한 148.1포인트 기록했다. 최근 기상상황과 교역 활성화가 밀 수출 가격을 지탱했으며, 고품질 인디카종 쌀에 대한 높은 수요로 국제 쌀 가격은 6개월 연속 상승한 반면, 옥수수 가격은 풍부한 공급으로 인해 상승이 제한됐다.
유지류도 168.7포인트로 전달 보다 4.7% 올랐다. 유지류 가격 상승은 주로 팜유와 대두유 가격 상승에 따른 영향이며, 팜유 가격은 세계적 수요 증가로, 대두유 가격은 미국의 굳건한 소비 지속 전망에 힘입어 상승했다.
팜유와 대두유 시장에서의 이례적으로 강한 수요가 세계적인 공급 개선 전망에 따른 가격 하락 효과를 상쇄시켰다는 분석이다.
유제품은 5.1% 상승한 193.0포인트를 기록했다. 최근 유제품 가격이 상승세로 모든 유제품 가격이 상승했지만 2014년 2월의 최고치 대비해서는 여전히 30% 낮은 수준이다.
버터의 경우 유럽과 북미의 견고한 내수가 가격 상승을 유인했고, 탈지분유는 EU의 풍부한 재고로 인해 가격 상승이 제한됐다.
육류의 경우도 돼지고기, 양고기, 쇠고기 가격 모두 일제히 상승했다. 전달보다는 1.5% 올라 171.7포인트를 나타냈다.
돼지고기 가격은 견고한 수요로 인해, 쇠고기 가격은 오세아니아의 제한적인 수출 가용량으로 인해 상승했으며, 양고기 가격은 수출량 부족에 따라 3개월 연속 올랐다. 가금육 가격은 안정세를 유지했다.
설탕은 전달 보다 2.3% 하락한 227.9포인트 기록했다. 설탕가격 하락은 브라질 중남부에서의 사탕수수 생산량이 예상보다 많았으며, 브라질 통화(Real) 가치가 급락하면서 사탕수수를 국내 바이오 에탄올 원료로 사용하기보다는 수익이 높은 수출로 전환하면서 가격이 내려갔다.
설탕가격의 추가 하락요인으로는 파키스탄의 수출증가 전망과 중국의 WTO TRQ(tariff-rate quota, 일정물량에 대해 저율관세를 부과하고 이를 초과하는 물량은 고율관세를 부과하는 이중 관세제도) 초과 수입 물량에 대한 고관세 부과 결정이 작용됐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