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밀착형 보험 인기…가입 시 주의점은?
비용손해 상품 신계약건수 1년 새 13.2%↑
여전히 상해·질병담보 보다는 가입률 낮아
가입 시 보험사 별 다른 보장 등 고려해야
일상생활 속에서 직면할 수 있는 각종 위험들을 보장하는 생활밀착형 보험 상품에 대한 관심이 점점 커지고 있다.
다만, 보험사 별로 보장 내용이 다를 수 있고 중복 보장이 안 되는 점 등을 고려해 가입 시 꼼꼼히 체크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다.
보험개발원은 변호사 선임비용 등을 보장하는 비용손해 담보의 2015년 신계약건수는 1850만건으로 전년 대비 13.2% 증가했다고 29일 밝혔다.
또 도난 등에 따른 재물손해를 보장하는 담보는 440만건으로 같은 기간 대비 33.4% 늘었고, 일상생활 중 배상책임 등 배상책임 담보는 520만건으로 14.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개발원은 보험사의 신시장 개척 수요와 금융당국의 보험 상품 다양화 정책 지원으로 생활밀착형 비용보장 상품이 더욱 활성화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같은 상품들의 경우 계약자 본인뿐 아니라 부부와 가족 등도 동시에 보장해 각자 가입할 경우보다 보험료가 저렴하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2015년 말 기준으로 생활밀착형 비용보장 상품의 1인당 평균 가입건수는 재물손해가 0.2건, 비용손해가 2.8건 수준으로 상해담보(11.7건)나 질병담보(11.9건)에 비해 여전히 낮은 편이다.
이를 두고 보험개발원은 비교적 저렴하게 판매되고 있는 생활밀착형 비용보장 상품을 적극 활용해 배상책임이나 법률문제, 도난, 사기 등 일상생활 중 직면하는 다양한 위험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다만, 관련 상품 가입 시 세심한 주의와 관심도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가족 일상생활 중 배상책임의 경우 상품에 따라 주택 내 화재 발생 시에는 보장에서 제외하기도 하는 만큼, 가입자의 위험보장목적에 맞는 보험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또 상해, 질병 등 정액보장형 담보들과 달리 대부분의 비용담보는 일정가입금액을 한도로 실제 피해액을 보상하며, 동일한 담보를 중복으로 가입한 경우에는 비례 보상하기 때문에 가입 시 기존계약과 중복여부를 꼼꼼히 따져볼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복잡한 사회변화 등에 따라 다양한 생활밀착형 비용보장 상품이 활발하게 출시되고 있다"며 "이를 활용하면 일상생활 속 위험에 대비가 가능하지만, 보험사 또는 상품마다 보장내용이나 방법이 다를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