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19대 대선 개표] 2000년대 최고의 득표율?


입력 2017.05.09 23:42 수정 2017.05.09 23:50        전형민 기자

박근혜 전 대통령 51.55% 최고, 노태우 전 대통령 36.64% 최저

2등과의 득표율차는 이명박 전 대통령, 2위 정동영 후보와 22.53%p차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제19대 대통령선거가 실시된 9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 마련된 개표상황실을 찾아 추미애 대표와 웃으며 대화를 나누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박근혜 전 대통령 51.55%로 최고, 노태우 전 대통령 36.64% 최저
2등과의 득표율차는 이명박 전 대통령, 2위 정동영 후보와 22.53%p차


19대 대통령 선거가 사실상 문재인 후보의 당선이 확실시되는 가운데 문 후보의 득표율이 정치권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번 대선이 역사상 유례가 없는 다자구도로 펼쳐진 데다 전임 대통령의 탄핵으로 나라가 양분된 가운데 치러진 보궐 선거이기 때문이다. 당선이 확실시되는 문 후보는 이번 대선 투표 종료 직후 발표된 방송사 출구조사에서 41.4%를 기록했다.

대통령 선거 직선제가 실시된 1987년 이후 대선을 돌이켜보면 가장 많은 득표율로 당선된 후보는 아이러니하게도 탄핵된 전임 대통령인 박근혜 전 대통령이다. 박 전 대통령은 득표율 51.55%라는 과반을 넘기는 득표로 18대 대통령으로 당선됐다. 당시 박 전 대통령과 경쟁한 문재인 후보는 득표율 48.02%로 박 전 대통령과의 득표율차는 3.53%p였다.

득표율 2위는 16대 대통령인 노무현 전 대통령이다. 노 전 대통령은 득표율 48.91%로 2위였던 이회창 후보보다 2.33%p 앞섰다. 3위는 노 전 대통령보다 불과 0.24%p 적은 이명박 17대 대통령이다. 이 전 대통령은 득표율 48.67%로 득표율에서는 노 전 대통령과 불과 소숫점의 차이였지만 당시 2위였던 정동영 후보와는 무려 22.53%p라는 큰 득표율 차이를 보였다.

득표율 4위는 김영삼 전 대통령이다. 김 전 대통령은 41.96%의 득표율을 기록했고 당시 경쟁자였던 김대중 후보는 33.82%로 8.14%p의 차이를 보였다. 김영삼 전 대통령의 뒤를 이은 득표율 5위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다. 15대 대통령인 김 전 대통령은 40.27%의 득표율로 대통령에 당선됐고 김 전 대통령과 경쟁한 이회창 후보는 불과 1.53%p차로 패배의 고배를 마셨다.

직선제 대통령 선거 이후 가장 낮은 득표율은 노태우 전 대통령이다. 13대 대통령인 노 전 대통령은 불과 36.64%로 대통령에 당선됐다. 당시 노 전 대통령과 경쟁했던 김영삼 후보는 28.03%였다.

한편 오후 11시 현재 당선이 확실시되는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득표율 38.5%를 기록하고 있다. 2위인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27.7%)와는 10.8%p차다. 기대를 모았던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21.2%에 그치고 있다.

전형민 기자 (verdant@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전형민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