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갤S8 가격만 15번 바뀌어”...황금연휴 예고된 대란 ‘속수무책’


입력 2017.05.04 11:14 수정 2017.05.04 13:20        이호연 기자

3일 번호이동 3만건 육박, 리베이트 최대 65만원

손 놓은 ‘방통위’...‘현금 판매 전수조사’ 시급

데일리안이 입수한 3일 한 이통사의 정책 단가표. 갤럭시S8(SM-G950N)과 갤럭시S8 플러스(SM-G955N)에 60만원의 리베이트가 책정됐다.

“갤럭시S8 단가 정책만 15번이 바뀌었습니다. 인쇄하기도 지치더군요.”

지난 2일부터 4일 새벽까지 황금연휴 ‘갤럭시S8’ 대란이 전국적으로 일어났다. 출고가 93만5000원의 갤럭시S8(64GB)에 최대 65만원의 판매 장려금(리베이트)이 실렸다. 이번 보조금 대란은 이동통신사가 주도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자율규제의지가 무색한 순간이다.

주무부처인 방송통신위원회는 업무공백으로 손을 놓은지 오래다. 일각에서는 널뛰기 가격을 막기 위해 현금 판매 전수조사가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3일 이동통신3사 번호이동 건수는 2만8267건을 기록했다. 지난 2014년 10월 단말기 유통법 시행 이후 최고 수준에 근접한다. SK텔레콤은 118건, KT는 11건, LG유플러스는 107건 순감했다. 이통3사는 약 이틀간 피 튀기는 가입자 유치전을 펼쳤다.

이번 갤럭시S8 대란은 이동통신사의 주도로 지난 2일 새벽부터 시작됐다. K사가 갤럭시S8에 40만원 안팎의 리베이트를 투입하며 경쟁에 불을 붙였다.

이후 S사와 L사가 강하게 대응하며 3일 한 때 갤럭시S8에 최대 65만원의 리베이트가 실렸다. 갤럭시S8 실구매가는 40만원대까지 떨어졌다. 6만원 이상 요금제 가입 등의 조건까지 포함하면 15만원대 갤럭시S8도 등장했다. 불법 페이백 등 지원금만 50만원 이상이 풀린 셈이다. 단말기 유통법에 의하면 공시지원금은 33만원이 상한선이다.

서울 주요 집단상가는 물론 수도권, 지방의 일선 대리점과 판매점 등에는 최대 15번의 가격 공지가 전달되며 시장이 요동쳤다. 결국 S사가 유일하게 순증하는 것으로 일단락됐다.

유통업계는 방통위의 국정 공백을 노린 조직적인 이통사의 전략으로 보고 있다. 현재 방통위는 위원장 자리가 공석이고, 정권이 교체되면 조직개편이 점쳐지고 있다. 실제 이번 대란은 방통위 특별 단속이 끝남과 동시에 이뤄졌다. 일부 유통점에서 방통위에 황금연휴를 맞이해 보조금 대란이 일어날 것을 우려해 조치를 요구했지만, 방통위는 이통사의 시장자율 규제에 힘을 실어주기로 했다는 후문이다.

규제 당국의 인사 공백과 갤럭시노트7 리퍼폰 출시 등으로 이같은 상황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방통위가 정상 가동하기가 어렵고 갤럭시노트7 리퍼폰이 하반기 나오려면, 이전에 갤럭시S8 재고가 상당부분 처리돼야 한다”며 “오는 9월까지 스팟성 대란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업계에서 표명한 각종 자율 규제 방안과 개선안이 휴지조각인 셈”이라며 “차별적인 가격 정책을 방지하기 위해 리베이트 흐름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현금 판매 전수조사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