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세론'은 안았는데 '호남' 못 품은 문재인
몰표 줬던 지난 대선과 달라…'호남의 선택' 남은 과제
첫 경선 지역도 호남…'부산대통령' 등 논란 해소 시급
더불어민주당의 '호남대첩'이 시작됐다.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순회 경선이 오는 27일 호남에서 시작되며 대선주자들은 총력전에 들어갔다. 특히 각 후보캠프는 '호남의 선택'에 따라 경선 구도도 뒤바뀔 수 있다며 바짝 긴장한 모습이다. 호남은 2002년 노무현 후보가 지역경선에서 1위를 차지하며 대통령 후보 자리를 거머쥔 '노풍(盧風)'의 발원지이자 야권의 심장으로 불리는 곳이다.
'호남홀대론'에 거부감 어떻게 풀까
호남엔 민주당을 향한 복잡한 정서가 움직이고 있다. 이른바 '호남홀대론'으로 불리는 정서적 거부감이 작지 않다. '애증 관계'인 셈이다. 문재인 전 대표가 전국적으로 대세론을 안고 있는 것과는 별개의 문제다. 호남의 반문재인 정서는 과거 노무현 정부와 친노세력에 대한 감정까지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 호남 민심을 겨냥한 정치권의 반문재인 공세도 그를 괴롭히고 있다. '전두환 표창' '부산대통령' 논란이 대표적이다. 문 전 대표측은 "발언의 취지를 왜곡하는 것"이라고 뒷수습에 안간힘을 썼지만, 등 돌린 민심은 좀처럼 마음을 열지 않고 있다.
최근 문 전 대표가 호남 지역을 배려한 지원공약들을 대거 쏟아내며 러브콜을 보낸 것도 홀대론을 풀기 위한 일환이다. 지난 20일 광주 방문에선 "'약무호남 시무국가(호남이 없으면 국가가 없다)'의 절박함으로 광주에 다시 왔다"며 "두 번 실망시키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4.13총선에선 "호남이 지지를 거둔다면 정치에서 은퇴하고 대선에 불출마하겠다"고 약속했던 그였다. 하지만 총선 결과는 참패였고, 민주당이 호남에서 얻은 의석은 28석 중 3석에 불과했다. 문 전 대표는 "더 겸허하게 노력하면서 기다리겠다"고만 했다. 민주당 한 관계자는 "호남민심은 아직까지 문 전 대표에게 진정성을 느끼지 못했고 감동도 없다는 얘기"라고 했다.
'대세론' 품었어도 호남 지지 없으면...
호남 지역에서 문 전 대표의 지지율은 민주당 지지율을 미처 따라잡지 못한 상태다. 데일리안이 의뢰해 여론조사 기관 알앤써치가 실시한 3월 넷째 주 정례조사에 따르면, 문 전 대표의 호남 지지율은 37.0%로 민주당 지지율(54.3%)보다 무려 17.3%p 낮았다. 37.0%는 여타 주자들에 비해선 가장 높은 지지율이지만, 아직은 호남민들로선 문 전 대표와 민주당을 동일시할 수 없는 정서적 괴리가 있다는 방증이다.
앞서 '1:1구도'로 치러진 지난 2012년 대선에선 문 전 대표에게 88.50%의 '몰표'를 준 호남민심이다. 하지만 이번엔 다르다. 지난 총선에서 호남 민심을 등에 업은 국민의당이 버티고 있다. 유력 주자인 안철수 전 대표가 스스로 물러서지 않는 한 대선은 기본적으로 3자 구도다. 지난 대선과 같은 호남의 전폭적인 지지 없이는 '대세론'도 여유를 부리긴 시기상조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