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이대, 세상에서 가장 작은 저장매체 선보인다


입력 2017.03.09 10:20 수정 2017.03.09 10:24        이선민 기자

‘무어의 법칙’ 뛰어넘어 이론상 가장 작은 메모리 구현

양자나노과학연구단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단장.ⓒ이화여자대학교
‘무어의 법칙’ 뛰어넘어 이론상 가장 작은 메모리 구현

이화여자대학교 양자나노과학 연구단(Center for Quantum Nanoscience, QNS) 단장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물리학과 교수가 이론상 세상에서 가장 작은 저장매체를 선보였다.

1965년 발표된 ‘무어의 법칙(마이크로칩에 저장 가능한 데이터 양이 18개월마다 2배씩 증가한다)’에도 불구하고, 실리콘 소재의 한계로 인해 전자소자의 지속적인 소형화는 제동이 걸린 상태다.

하지만 하인리히 단장은 홀뮴(Ho) 원자 1개로 1비트를 안정적으로 읽고 쓰는 데 성공했다. 물질의 최소 단위인 원자 하나로 1비트(bit, 디지털신호의 최소 단위)를 구현할 경우 저장매체의 획기적인 소형화가 가능하다.

현재 상용화된 메모리의 1비트 구현에 약 10만 개의 원자가 필요하고 사실상 이번 연구결과보다 작은 저장단위를 만드는 것은 이론적으로 불가능하다.

이화여대는 “본 연구는 미국 IBM 알마덴 연구소와 함께 이끌었으며, 주사터널링현미경(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STM)으로 진행됐다”며 “ 1.5K(영하 271.5℃)의 극한 환경에서 산화마그네슘(MgO) 표면에 저장매체 역할을 하는 홀뮴(Ho) 원자와 원격센서 역할을 하는 철(Fe) 원자를 놓고 실험했다”고 밝혔다.

STM은 원자 하나 크기의 미세탐침이 끝에 달린 현미경으로, 탐침으로 전류를 흘려 각 원자의 자기적 상태를 측정하거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연구진은 STM 조작으로 홀뮴 원자의 스핀 방향을 위·아래로 바꾸었는데, 이것이 각각 1비트의 디지털신호 ‘0’과 ‘1’을 홀뮴 원자 하나로 저장하는 셈이 됐다.

홀뮴 원자의 자기상태에 따라 옆에 있는 철 원자의 자화상태가 바뀌는데, 이 때 철 원자의 전자스핀공명(ESR)을 측정해 홀뮴 원자의 자기장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근접한 두 개의 홀뮴 원자들에서는 4가지 ESR 신호를 구분지어 읽을 수 있다. 홀뮴 원자들은 1나노미터 정도 간격으로 밀접해도 서로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원자를 촘촘히 배열해 저장밀도를 혁신적으로 높일 수 있다.

하인리히 단장은 “홀뮴 원자들이 근접해도 서로의 스핀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이유를 규명하고 보다 높은 온도에서 재현하는 것이 다음 목표”라며 “두 가지 스핀 상태가 공존하는 양자 제어가 가능하도록 추가적인 연구가 뒷받침되면 양자컴퓨팅을 위한 단일원자 기반 큐비트(qubit)로의 응용 가능성도 엿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선민 기자 (yeatsm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선민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