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불청객 해빙기 대비 재난취약시설 집중관리 실시
3월 31일까지 '해빙기 특별 안전관리기간' 특별점검 실시
주민신고 상황반 개설…일요일 공휴일 포함 24시간 운용
3월 31일까지 '해빙기 특별 안전관리기간' 특별점검 실시
주민신고 상황반 개설…일요일 공휴일 포함 24시간 운용
계속된 한파로 얼어붙었던 날이 점차 풀리면서 해빙기가 본격 시작된 가운데, 서울시가 이를 대비해 재난취약시설 집중관리에 나선다.
해빙기는 겨울철 얼었던 땅이 녹으면서 지반이 약해져 시설물 붕괴나 전도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커지는 시기다.
서울시는 오는 3월 31일까지 '해빙기 특별 안전관리기간'으로 정하고 노후주택 및 공사장, 축대·옹벽, 절개지 등 재난취약시설에 대한 집중관리를 실시한다고 14일 밝혔다.
또 시민들이 해빙기 위험징후를 발견해 신고 시 즉시 대응할 수 있는 상황반을 개설, 일요일 등 공휴일 포함 주·야간 24시간 운용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지난해 실시한 해빙기 안전점검 중 정릉천 고가의 케이블 손상을 발견, 내부 순환로를 부분 폐쇄하고 유사 교량에 대한 특별점검 및 긴급 보수 작업을 실시하는 등 선제적 조치를 취한 바 있다.
올해는 750곳을 집중관리대상 시설로 지정해 특별관리를 한다. 점검 대상은 △노후주택(3155개) △공사장(1050개소) △축대·옹벽(965개소)을 포함한 총 9015개소로, 그 중 750곳을 집중관리 시설로 지정해 관리한다는 계획이다.
대형공사장 등 31개소는 서울시와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합동점검반이 특별점검 및 정밀점검을 실시한다. 특별점검을 위한 민간전문가는 토목, 건축, 소방, 가스, 전기 등 각 분야의 전문 기술 인력인 서울안전자문단 위원 60명이 활동한다.
김준기 서울시 안전총괄본부장은 "해빙기 시설물 붕괴사고는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꼼꼼히 점검해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시민들도 주변에 위험한 곳이 있는지 각별히 관심을 가지고, 이상 징후 발견시 ‘안전신문고’나 가까운 행정기관에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