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인상] 한국은행에 쏠리는 눈...동결하나
가계부채, 외국인 자본 이탈 우려 등으로 동결 ‘우세’
내년 이후 금리정책 방향에 대한 한은 총재 의견에 주목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해 12월 이후 1년 만에 금리인상을 단행하면서 바로 이어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통화정책 향방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미국의 금리 인상과 1300조원을 웃도는 가계부채 문제와 경기둔화 등이 부담으로 작용해 한은이 이번달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대내외 상황을 주시할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5일 오전 9시 회의를 열고 이번달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이날 새벽 미국 연준이 연방기금금리(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상향 조정한다고 발표한 뒤 몇 시간 지나지 않아 열리는 회의다.
시장에서는 한은이 미국의 금리 인상, 늘어나고 있는 가계부채 등으로 이번달에는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자본유출 움직임, 가계부채 증가세, 경기 지표 등 대내외 상황을 주시할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미국이 금리를 인상한 상황에서 국내 기준금리를 내릴 경우 우리나라와 미국의 금리 차가 좁혀져 외국인 자본이 이탈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미국을 따라 기준금리를 올릴 경우에는 가계의 이자 부담이 커지면서 가계부채가 부실화될 수 있고 특히 침체된 국내 경기를 더 악화시킬 가능성이 높다.
이승훈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연구원은 “미국의 금리 인상은 예상됐던 만큼 금리인상 이슈보다는 FOMC 위원들의 금리 전망치를 담은 점도표와 경제전망 스탠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정책 및 향후 금리 인상 속도에 초점이 쏠려있다”며 “이에 따라 한은의 기준금리 향방이 달라질 수 있지만 이번달에는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다만 내년에 국내 경제가 좋지 않다는 점을 감안하면 차별화 차원에서 금리 인하 이야기가 나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완중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원도 “한은이 기준금리 동결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며 “미국 금리 인상으로 일시적으로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지만 파급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 역시 “미국의 금리 인상에 따른 금리역전 가능성 등으로 한은이 금리를 내리기는 쉽지 않다”며 “금리를 내리면 자금유출 우려와 환율 변동성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