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별 볼일 없는' 야권 두 번째 회동…분열? 공조? 갈림길


입력 2016.11.17 20:15 수정 2016.11.18 13:44        전형민 기자

영수회담, 총리추천, 야3당 합동 의총 등에서 빈손

야권 '단일대오' 촛불집회 이후 '흔들흔들'

지난 12일 '최순실 게이트'로 박근혜 대통령의 하야를 촉구하는 민중총궐기대회에 참가한 수십만명의 시민들이 12일 저녁 서울 광화문 세종대로에서 촛불을 밝히며 박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고 있다. (자료사진) ⓒ사진공동취재단

야권 '단일대오' 촛불집회 이후 '흔들흔들'

'최순실 게이트'로 벼랑 끝에 몰렸던 청와대에 한줄기 희망의 빛이 비친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정의당 등 야3당의 공조가 분열 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야3당은 당초 발 빠르게 대표 회동을 여는 등 단일대오를 구축하는 듯했으나, 최근 당리당략에 빠져 서로를 바라보는 표정이 묘해졌다.

사상 초유의 '국정농단' 사건은 4·13 총선 이후 물밑 주도권 싸움을 거듭하던 야권의 단결을 불러왔다. 야3당은 총선 이후 처음으로 '대표 회동'까지 열어가며 공조에 열을 올렸고 지난 12일 광화문에서 건국 이래 최다수라는 100만 국민의 촛불 집회를 이끌어냈다.

하지만 야권의 이러한 '단일대오'는 12일 촛불집회의 추동력을 살리지 못하고 힘이 빠지는 모양새다. 14일 추미애 민주당 대표의 단독 영수회담 제안이 그 시초였다. 추 대표는 촛불집회 이후 첫 월요일, 국민의당이나 정의당과는 논의하지 않은 '단독 영수회담'을 청와대에 제안했다. 당연히 국민의당과 정의당은 "대단히 유감스럽고 잘못된 결정"이라며 반발했고 결국 추 대표는 이날 저녁 의원총회의 총의를 수용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제안을 철회했다.

야권 대권주자 빅2로 손꼽히는 문재인 민주당 전 대표와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의 미묘한 신경전도 한 요인으로 지목된다. 안 전 대표는 지난 8일부터 이 시국을 수습하기 위한 '정치지도자 회의'를 제안했지만 정작 두 사람은 서로 연락을 주고받지도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둘은 각각 15일과 16일 연이어 '자기 정치'를 하는 모양새로 기자회견을 앞다퉈 갖기도 했다.

때마침 엘시티 의혹도 터졌다. 한동안 잠적해 종적을 찾지 못하던 부산 해운대 엘시티 의혹의 핵심 당사자인 이영복 씨는 갑자기 자수했다. 정치권에는 '엘시티를 털면 여야 할 것 없이 유력 정치인들을 블랙홀처럼 빨아들일 것'이라는 소문이 돌기 시작했다. 야권은 '엘시티 연루 의혹'을 두고 서로 주판알을 튀기며 눈치게임에 들어갔다. 부산지역에 현역의원을 가진 민주당은 "국면전환용 꼼수"라며 강하게 반발했지만, 현역이 한 명도 없는 국민의당은 '철저 수사를 환영한다'는 반응을 보여 엇갈리는 이해관계를 대변했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박지원 국민의당 비대위원장, 심상정 정의당 대표가 17일 국회 사랑재에서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의혹 사태의 해결 방안 논의를 위해 열린 야3당 대표 회동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별 볼 일 없는' 3당대표 회동…야권, 당리당략 빠지나

이런 상황 속에서 17일 오후 두 번째 야3당 대표 회동 결과는 야권 공조에 확실히 문제가 있음을 자인한 꼴이 됐다. 이날 본회의가 진행 중인 가운데 오후 4시부터 시작된 회동은 한 시간여 지속됐지만 별다른 성과 없이 종료됐기 때문이다. 당초 이날 회동에서는 박 대통령과의 영수회담 제안, 국회의 총리추천, 야3당 합동 의원총회 등이 논의돼 결과를 도출할 것인지 주목됐었다.

몇가지 합의된 사항은 △박근혜 대통령 퇴진 범국민 서명운동 전개 △검찰의 수사 철저 △국정조사와 특별검사 제도 적극 협조 △박근혜 대통령 퇴진 위해 시민단체와 적극 협력 등이다. 서명운동은 안철수 전 대표가 해오던 것을 야권 전체로 확대한다는 것에 불과하다. 검찰에 수사를 철저하게 해달라고 당부하는 것이나 이미 결정된 국정조사, 특검 등에 협조한다는 것, 시민단체와 적극 협력한다는 것은 성과라고 보기에도 민망한 내용들이다.

'별 볼 일 없는' 회동 결과에도 서로를 향한 견제는 계속됐다. 브리핑을 맡았던 윤관석 민주당 대변인은 '서명 운동은 국민의당의 제안을 민주당이 받아들인 것이냐'는 질문에 "각 당이 자체적으로 진행 중인 것을 구체적으로 하고 있다"며 "이미 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당이 제안한 것이 아니고 범국민 서명운동으로 정리했다"고 덧붙였다.

모두가 하던 것이기 때문에 어느 당이 다른 당의 행동에 동참하고 동의하는 개념이 아니라는 설명이다. 다분히 주도권 싸움을 의식한 발언으로 보인다. 이미 서로 하고 있던 것이라면 굳이 합의 내용에 추가할 필요가 있었느냐는 지적도 나온다. 앞서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는 매일 서울 시내를 돌며 박근혜 대통령 퇴진 서명운동을 지속해왔다.

야당 대표들은 추가 회동도 가능성만 열어놨을 뿐 특정 짓지 않았다. 손금주 국민의당 수석대변인은 '26일 촛불집회 이후 추가 회동을 또 하느냐'는 질문에 "꼭 그렇진 않다"며 "정례화하진 않았지만 좀 더 적극적으로 야3당 대표 만나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 필요할 때 어느 한 쪽이 제안하면 받아서 회담하는 것으로 했다"고 밝혔다.

전형민 기자 (verdant@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전형민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