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한국·일본·태국 납치피해자, 방콕서 김정은 책임 묻는다


입력 2016.11.16 18:43 수정 2016.11.16 18:44        하윤아 기자

ICNK, 방콕서 '납북문제와 국제사회의 반응' 심포지엄 개최

북한 반인도범죄 ICC 제소 위해 '납치·강제실종' 문제 주목

ICNK, 방콕서 '납북문제와 국제사회의 반응' 심포지엄 개최
북한 반인도범죄 ICC 제소 위해 '납치·강제실종' 문제 주목


오는 17일 태국 방콕에서 한국과 일본, 태국의 납북 피해자 가족들이 한자리에 모여 북한의 인권유린 실태를 고발하고 반인도범죄의 국제형사재판소 제소의 현실화를 위해 목소리를 높인다.

북한반인도범죄철폐국제연대(ICNK)는 17일 태국 방콕에서 '납북문제와 국제사회의 반응'이라는 주제로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 한국과 일본, 태국의 납북 피해자들은 북한 당국이 자행한 납치와 강제실종 문제를 조명한다.

ICNK에 따르면 북한 당국에 의한 납치와 강제실종으로 한국 외 유럽과 동남아시아 일부 국가의 국민들도 피해를 입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해당 정부의 무관심과 피해자 가족의 안전문제 등으로 큰 조명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태국인 납치 피해자 아노차 판초이 씨의 조카 반종 판초이 씨의 노력으로 최근 태국정부가 납치문제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이에 ICNK는 태국의 회원단체인 납북자구출협의회(ARNKA), 태국 국가인권위원회와 함께 방콕에서 국제심포지엄을 열어 태국 정부의 협력을 유도해 내는 한편, 납북문제에 대한 국제제적 관심을 불러일으킬 예정이다.

이번 행사에는 하영남 6·25전쟁 납북인사가족협의회 이사, 황인철 KAL기 납치피해자 가족회 대표, 김동남 자유북한국제네트워크 대표를 비롯해 일본인납북피해자가족회(AFVKN)의 테루아키 수모토 씨도 참석해 증언에 나선다.

권은경 ICNK 사무국장은 "강제구금은 ICC의 로마규정이 명시한 반인도범죄를 구성하는 중대 인권유린 중 하나"라며 "납북문제는 피해자의 신분과 피해자 가족, 사건 발생 등에 대한 명백한 정보가 북한 외부에 존재하는 사안이므로 북한당국이 발뺌하기 가장 힘든 문제라는 점에서 전략적으로 중요한 이슈"라고 말했다.

권 사무국장은 "유엔 및 국제사회가 북한 반인도범죄의 책임자 규명과 해결을 위한 방안 연구에 주력하고 있는 시점에, NGO와 납치피해자 가족들이 이 문제에 더욱 목소리를 내는 것은 중요하다"며 "무엇보다 피해자의 기본적인 인권을 위해서도 피해자의 행방을 확인하는 것은 물론이고 송환까지 이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태국과 같이 북한과 외교관계가 있는 국가의 정부가 더 적극적으로 이 문제에 나서주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2013년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의 활동 이후 유엔 등 국제사회는 북한인권문제가 반인도범죄에 해당된다는 인식을 공유했다. 올해 제71차 유엔총회 북한인권결의안 초안에도 북한의 조직적인 납치와 피해자 송환 거부에 대한 유엔 차원의 심각한 우려가 명시됐으며, 유엔은 납치 피해자들을 투명한 방식으로 귀환시킬 것을 북한당국에 촉구했다.

하윤아 기자 (yuna111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하윤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