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갤노트7 손실 3분기 반영...불확실성 제거
완성품 및 부품 재고, 개발비용 등 모두 반영...'긍정적'
4분기 실적 부담 줄었지만 실적 전망은 여전히 불투명
완성품 및 부품 재고, 개발비용 등 모두 반영...'긍정적'
4분기 실적 부담 줄었지만 실적 전망은 여전히 불투명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7 생산 및 판매 중단으로 모든 비용 손실을 3분기 실적에 반영했다. 이로써 4분기 실적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됐지만 갤럭시노트7 공백으로 실적 전망이 밝지만은 않은 상황이다.
삼성전자가 12일 정정공시를 통해 수정된 3분기 잠정매출 2조원(49조원→47조원)과 영업이익 2조6000억원(7조8000억원→5조2000억원)은 스마트폰이 주축인 IT모바일(IM)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당초 증권가에서는 3분기 삼성전자 IT모바일(IM) 부문 영업이익을 약 2조6000억원~2조7000억원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이번 정정 반영으로 3분기 IM부문 영업이익은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이번 실적 수정에 대해 "현 시점에서 예상되는 갤럭시노트7 생산 및 판매 중단에 따른 비용 손실 규모를 추산해 반영했다"며 "향후 실제 수치가 어떻게 나올지는 모르겠지만 4분기에 추가 반영분이 발생하더라도 많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가에서도 이번 손실 반영이 완제품 뿐만 아니라 부품 재고와 개발 비용 등까지 모두 반영한 것으로, 4분기 실적 불확실성이 없어진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분위기다.
노근창 HMC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실제 판매된 갤럭시노트7은 250~300만대 가량으로 추정된다"면서 "리콜하면서 교체한 부품과 추가 판매를 위한 부품 재고량 등을 모두 실적에 반영해 잠정 영업이익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에따라 삼성전자가 4분기 실적에 대한 부담은 줄일수 있게 됐다. 하지만 갤럭시노트7이 부재한 자리를 메울 대체재가 마땅치 않아 4분기 실적을 낙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는 것이 중론이다.
김영우 SK증권 수석연구위원은 "갤럭시S7과 갤럭시노트5 등 기존 제품들이 갤럭시노트7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면서 "특히 프리미엄폰의 공백은 수익성 약화와 직결되기 때문에 제품 판매와 함께 비용 절감 노력도 병행해 나가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전날인 11일 최근 갤럭시노트7 소손이 발생한 가운데 고객의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해 갤럭시 노트7의 판매와 생산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