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스플레이, 2분기 영업익 444억...17분기 연속 흑자
전분기 대비 12% 증가...전년동기 대비 90% 감소
하반기 프리미엄 제품 비중 증대로 수익성 개선 기대
LG디스플레이가 액정표시장치(LCD) 가격 하락과 업체들간 경쟁심화 속에서도 17분기 연속 흑자 달성에 성공했다.
LG디스플레이는 27일 공시를 통해 올 2분기 실적으로 매출액 5조8551억원과 영업이익 444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분기(5조9892억원) 대비 2% 감소했지만 수익성 위주의 차별화 전략으로 영업이익은 전분기(395억원) 대비 12% 증가했다.
이로써 LG디스플레이는 지난 2012년 2분기를 시작으로 17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 중국 업체들의 공격적인 LCD 생산 확대와 지속적인 패널가격 하락 속에서도 거둔 값진 성과다.
회사측은 2분기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흑자 달성에 성공한 것은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과 철저한 수익성 위주의 전략이 빛을 발한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차별화된 M+기술을 바탕으로 40인치 이상의 초고화질(UHD) 시장을 선도하면서 하이다이내믹레인지(HDR)기술이 탑재된 60인치 이상의 초대형·프리미엄 TV패널 비중을 적극 확대하며 수익성을 높였다.
모바일의 경우, 비수기임에도 중국고객의 물량 확대 및 ‘IPS 인터치(in-TOUCH)’ 기술을 탑재한 제품 출하 증대로 매출비중이 전분기보다 4%포인트 증가했다.
또 지속적인 공정개선과 수익성 중심의 제품 생산을 통해 사업 전분야에 걸쳐 생산효율성을 극대화했다. 2016년 2분기 매출액 기준 제품별 판매 비중은 TV용 패널이 39%, 모바일용 패널이 27%, 노트북 및 태블릿 PC용 패널이 18%, 모니터용 패널이 16%를 차지했다.
하지만 올 상반기 누적 실적이 전년동기 대비 크게 떨어져 향후 실적 개선에 대한 부담은 안게됐다.
LG디스플레이 올 상반기 누적 영업이익이 839억원에 불과해 전년동기(1조2320억원)에 비해 93.2%나 감소하는 등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같은기간 매출도 11조8443억원으로 전년동기(13조7299억원) 대비 13.7% 줄었다.
이에 대해 회사측은 하반기에는 대형, UHD, ‘IPS 인터치(in-TOUCH)’ 등 프리미엄 제품 비중을 증대하면서 동시에 OLED 시장 및 고객 확대에 전력을 기울여 실적 개선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대형 OLED의 경우 초고해상도 제품의 수율안정화와 공정개선 등을 통해 원가경쟁력을 높이고 OLED TV의 프리미엄 입지 강화를 위한 고객다변화도 지속적으로 전개할 계획이다. 또 플라스틱OLED(POLED)에 대한 적기 투자를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등 미래 스마트폰 기술 경쟁력을 확보해 차별적 경쟁 우위를 확보할 방침이다.
김상돈 LG디스플레이 최고재무책임자(CFO·전무)는 “올 3분기는 계절적 성수기 확대에 따른 고객사의 구매 증가와 대형화 트렌드 지속으로 면적기준 출하량은 전분기 대비 한자릿수 중반(%)대의 증가를 보일 것"이라며 "패널가격의 안정적인 흐름으로 하반기 수익성은 전반적으로 개선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