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롯데 해외법인 18%, 조세피난처 의심국 소재


입력 2016.06.23 09:46 수정 2016.06.23 09:51        이광영 기자

256개 해외 법인 중 46개가 조세피난처 운영

“검찰, 롯데 해외 비자금 증거 확보 난항 겪을 것”

롯데그룹이 해외법인 중 18%가 조세피난처 의심국가에 소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롯데그룹 해외 비자금 흐름을 철저히 조사한다고 공헌한 검찰이 실체를 명확히 밝혀내기는 다소 어려울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2만기업 연구소는 23일 ‘롯데그룹 해외 계열사 현황 분석’ 을 조사한 결과, 롯데 그룹의 해외 계열사 숫자는 올해 256곳으로 작년보다 6곳 많아졌다고 밝혔다. 특히 해외 법인 중 42.2%인 108곳은 중국(홍콩 포함)에 소재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이는 롯데그룹이 중국을 해외 사업의 전진기지 메카로 삼고 있다는 것을 확연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중국 다음으로는 베트남(23곳), 미국(17곳), 인도네시아(17곳), 말레이시아(16곳), 카자흐스탄(11곳) 순으로 많은 계열사들이 해외에 포진됐다.

특히 조세 피난처로 의심되는 지역에서 46개 법인을 세워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ㄹ고 연구소측은 밝혔다. 이는 롯데 그룹 해외 계열사의 18.0%로로 다섯 곳 중 한 곳 꼴이다. 46곳 중 26곳은 홍콩에 계열사를 배치시켰다.

ⓒ한국 2만기업 연구소

홍콩에는 롯데마트 차이나(Lotte Mart China)가 100% 지분을 확보해 8곳이나 되는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다. 호텔롯데도 2개 계열사를 직접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에 이어 싱가포르(9곳), 네덜란드(5곳), 케이만군도(3곳), 룩셈부르크·모리셔스・영국령 버진아일랜드 등은 각각 1개 법인을 운영 중이다. 이중 영국령 버진아일랜드는 작년 9곳에서 올해는 1곳으로 8곳이나 확 줄어들었다.

네덜란드에는 호텔롯데가 출자하여 롯데유럽홀딩스(Lotte Europe Holdings B.V.)를 직접 지배하는 형태다. 유럽홀딩스는 다시 러시아에 소재한 현지 호텔(ZAO Lotte RUS) 등 계열사 4곳을 두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 사업은 러시아에서 하면서도 이를 지배하는 회사는 네덜란드에 있는 셈이다. 네덜란드는 전 세계적으로 법인세 등이 낮아 절세 목적 등으로 조세 피난처로 많은 기업들이 선호하는 곳 중 하나다.

롯데그룹의 해외 계열사 중 71곳은 롯데쇼핑에서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었다. 대표적으로 룩셈부르크에 소재한 코랄리스(CORALIS S.A)를 포함해 중국(홍콩 포함), 미국, 베트남,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등에 있는 법인 10곳을 직접 출자한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10개 법인 중 롯데쇼핑홀딩스 싱가포르(Lotte Shopping Holdings Singapore)와 홍콩에 소재한 롯데쇼핑홀딩스 홍콩(Lotte Shopping Holdings Hong Kong)를 비롯한 4개 회사가 다시 다수의 자회사 등을 거느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 2만기업 연구소

이중 롯데쇼핑홀딩스 홍콩은 무려 27개 회사를 중국과 케이만 군도에 세워놓고 운영하고 있다. 케이만에 세운 법인 중 핵심은 LHSC 유한회사다. 이 회사는 다시 케이만에 세운 럭키 파이(Lucky Pai Ltd.)의 최대주주로 활동 중이다. 케이만에 있는 럭키 파이는 중국 상하이에 4개 법인을 뒀다. 4개 법인 중 한 곳인 럭키 파이(상하이) 인포메이션은 다시 중국에 4개 회사를 거느리는 등 꼬리에 꼬리를 물며 복잡한 지배 구조를 갖고 있다.

오일선 2만기업 연구소 소장은 “우리나라와 홍콩은 아직 조세협정을 정식 체결하지 않아 국내 검찰 및 국세청에서 계좌 자료 등을 분석하데 어려움이 많다”며 “롯데도 홍콩에 많은 해외 법인을 두고 있어 해외 비자금 조성 의혹과 관련해 검찰이 명확한 증거를 확보하지 못하면 자칫 롯데 측에 면죄부를 주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오 소장은 “검찰과 국세청이 국내 재벌의 해외 비자금 조성 현황을 철저히 조사하기 위해 국회에 계류 중인 홍콩과 조세 협약 비준안이 20대 국회에서 통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이광영 기자 (gwang0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이광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