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알맹이 없는 선언문, 실천 방안은 여전히 없었다


입력 2016.06.11 10:13 수정 2016.06.11 10:14        과천 = 데일리안 문대현 기자

<기자수첩>이번에도 크게 다를 바 없었던 퍼포먼스

허울 뿐인 말보다 실속있는 행동을 보여줘야 할 때

김희옥 새누리당 혁신비대위원장과 정진석 원내대표를 비롯한 의원들이 10일 오전 경기도 과천시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에서 열린 정책 워크숍에서 단체사진촬영을 하며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새누리당이 10일 20대 국회 첫 정책 워크숍을 가진 가운데 마지막 일정으로 계파청산선언문을 낭독했다. 그러나 구체적 실천 방안이 없어 또 다시 '빚 좋은 개살구'가 되고 말 것이란 우려의 시선이 지배적이다.

이날 당은 오전 9시부터 경기 과천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에서 행사를 진행했다.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 김장수 정치학 박사의 특강에 이어 경제 정책을 포함한 주요 법안 및 사이버테러방지법에 대한 설명이 이뤄졌다. 이후 분임토의를 거쳐 북한 체제를 비판하는 영화 '태양아래'를 관람한 뒤 양성평등교육도 실시됐다.

이날 연찬회에는 122명 소속 의원 가운데 103명이 참석했다(오후 4시 기준). 그동안 공개 석상에 모습을 보이지 않던 김무성 전 대표와 최경환 의원도 참석했고, 서청원 전 최고위원도 자리했다.

이들은 마지막 순서로 새누리당 20대 총선 참패 원인으로 지적된 '계파'를 청산하겠다는 선언문을 낭독했다. "오늘 새누리당은 혁신과 화합만이 살 길이라는 결연한 각오로 이 자리에 섰다"고 시작되는 선언문에는 "이제 계파라는 용어를 쓰지 않고 한 마음 한 뜻으로 '대통합의 정치'를 실현하겠다"고 명시돼 있다.

의원들은 "국민들을 두려워하는 마음으로 민생, 경제, 외교, 안보 등 집권당으로서 해야 할 일들을 또박또박 실천해나가겠다"며 "말 뿐인 약속이 아니라 결과와 행동으로 보여드리겠다"고 각오했다.

또한 △새누리당은 계파청산을 통한 대통합의 정치를 적극 실천하고 △새누리당은 혼신을 다해 민생과 경제를 살리는 20대 국회를 구현하며 △새누리당은 국민의 총의를 모아 박근혜 정부의 성공과 정권재창출을 반드시 이뤄낸다고 결의했다.

선언문을 낭독하는 의원들의 말에는 힘이 있었고 표정은 결의에 차 있었으나 무언가 김이 빠지는 느낌은 지울 수 없었다. 계파를 없애고 국민을 향해 움직이겠다는 매번하는 원론적인 주장만 있었을 뿐 구체적으로 언제 어떻게 무엇을 하겠다는 복안이 제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총선 이후 더욱 심해졌던 계파 갈등…번번이 메아리에 그치는 구호

새누리당이 20대 총선에서 참패한 원인은 친박근혜계와 비박근혜계로 양분된 계파 갈등으로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총선 이후 당의 가장 큰 과제는 '계파 청산'이었다. 지난달 3일 취임했던 정진석 원내대표가 가장 먼저 꺼낸 말 역시 '계파 청산'이었다. 그러나 변화는 없었다. 오히려 더 큰 다툼이 일어났을 뿐이다.

지난 4월 26일 벌어진 새누리당 당선자 워크숍에서부터 삐그덕댔다. 당시 비공개 토론에서 비박계는 친박계의 2선 후퇴를, 친박계는 김 전 대표의 책임론을 강력히 주장하며 '네 탓 공방'을 이어나갔다. 논란을 거치며 자리를 마무리하는 과정에서 당선자들은 '반성 결의문'을 채택하고 한 목소리로 "계파와 정파에 매몰된 작은 정치를 극복하고 민심을 존중하는 민심정치를 하겠다"고 다짐했지만 그 때 뿐이었다.

지난달 17일 정 원내대표가 결정한 비대위와 김용태 혁신위 추인을 두고 열린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원회는 친박계의 집단 보이콧으로 무산됐고 거기에 기분이 상한 정 원내대표는 지역구인 공주에서 칩거하는 것을 선택했다. 이 때문에 당무는 정지됐고 여야 간 원구성 협상이 매끄럽게 진행되는 데 차질을 빚기도 했다.

이 기간 동안 계파 간 정면 충돌은 없었으나 친박과 비박을 대변하는 다수 의원들이 언론을 통해 '네 탓 공방'을 펼치는 볼썽사나운 모습이 한 번 더 나타났다. 한 때 김 전 대표를 중심으로 한 PK(부산·경남) 지역 비박계 인사들이 당을 나와 제4당을 꾸리거나 국민의당과 연합을 할 수도 있다는 관측마저 흘러나올 정도였다.

지난달 24일 정 원내대표와 김 전 대표, 최경환 의원이 3자 회동을 갖고 지금의 혁신비대위 구성에 합의하며 가까스로 당이 정상화됐지만 이미 깊게 패인 상처는 곪을대로 곪았다. 이렇게 구성된 혁신비대위조차 현재 무소속 탈당파의 복당 문제를 두고 계파 간 입장이 바껴 전운이 감도는 상태다. 결론적으로 새누리당은 총선 이후 근 두 달 가까이의 시간 동안 말로만 계파 청산을 외쳤을 뿐 전진한 것은 없다. 오히려 몇 걸음 뒤로 후퇴했다.

지금 상황으로는 의원들의 속은 도무지 알 수 없다. 계파 싸움이 당 뿐만 아니라 자신들에게도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 같으면서도 본인들이 속한 계파의 세력이 약화되는 것을 두려워하는 분위기다.

누군가 마음 먹은 일이 생겼을 때 사람들은 그것을 주변 사람들에게 최대한 알리라고 할 때가 있다. 주변인에게 이야기를 해두면 그들과 한 약속이 되므로 더욱 지키려고 노력한다는 이유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계파청산선언문은 일정 부분 의미가 있다. 문제는 그 내용이 너무 막연하다는 것이다. 막연한 약속은 지키지 못 할 가능성이 크다. 아쉬움이 짙다.

틈만 나면 추상적인 문구가 담긴 '결의문', '반성문', '선언문' 등의 이름으로 펼쳐지는 퍼포먼스를 보는 국민들의 마음은 이미 차갑게 식었다.

문대현 기자 (eggod611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문대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