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개성공단 기업들 "'키리졸브' 이후 방북승인 신청할 것"


입력 2016.03.11 17:17 수정 2016.03.11 17:18        박진여 기자

북 "북한 내 남측 자산 청산" 정부 "묵과 못 할 도발 행위"

개성공단 비대위 "방북 통해 줄 것 주고 받을 것 받아와야"

북한이 개성공단을 비롯한 우리 측 자산을 모두 청산하겠다고 선언한 것과 관련 우리 측 입주 기업들이 한·미 연합 군사훈련인 ‘키리졸브’ 훈련이 끝나는 대로 정부에 방북 승인 신청을 하겠다고 밝혔다. ⓒ데일리안

북한이 개성공단을 비롯한 우리 측 자산을 모두 청산하겠다고 선언한 것과 관련 우리 측 입주 기업들이 한·미 연합 군사훈련인 ‘키리졸브’ 훈련이 끝나는 대로 정부에 방북 승인 신청을 하겠다고 밝혔다.

개성공단 입주 기업 비상대책위원회는 11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몰수될 위기에 처한 우리 측 원부자재, 완제품 등 유동자산을 가져오기 위해 ‘키리졸브’ 훈련이 끝나는 21일 이후 정부에 방북 승인 신청을 하겠다고 밝혔다.

북한의 도발위협이 날로 강화되면서 이에 대비한 한·미 연합 군사훈련이 치러지고 있는 현 시국을 고려해 ‘키리졸브’ 훈련이 끝나는 21일 이후에 방북 승인 신청을 하겠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북한이 남한 자산을 청산하겠다고 위협하는 것은 우리 기업이 북한으로부터 개성공단에서 쫓겨나며 북한 근로자들에게 미처 지급하지 못한 급여 등을 현재 개성공단에 묶여 있는 우리 측 자산을 몰수·처분해 취하겠다는 의도라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방북을 통해 개성공단 북측 근로자들에게 줄 것은 주고 남아있는 우리 측 유동자산 등 받을 것은 받아와야 한다는 것이다.

정기섭 비대위 공동대표위원장은 “키리졸브 훈련이 종료되는 21일 이후 정부에 방북 승인 신청을 통해 북에 남아있는 이동 가능한 수많은 유동자산을 다 가져와야 한다”며 “개성공단이 영구폐쇄 되더라도 사용자와 근로자의 관계 등을 고려해 북측 근로자에 대한 임금은 주고 이동 가능한 유동자산은 모두 가져와야 한다”고 호소했다.

북한이 현재 ‘완전 청산’하겠다고 위협하고 있는 개성공단 내 우리 측 자산은 약 1조원에 달한다.

10일 통일부에 따르면 남북협력사업승인액을 기준으로 현재 개성공단 내 남아있는 남측 자산은 △민간부문 5600억 원 △정부부문 2560억 원 △공공부문 1060억 원으로 모두 9200억 원으로 나타났다.

개성공단뿐 아니라 금강산관광지구 4198억 원, 기타 경협기업 투자액 840억 원 등을 합하면 총 1조 4287억 원이 북한 내 남아있는 남측 총 자산으로 집계됐다.

북한은 앞서 우리 정부의 독자적인 대북 제재에 대응해 북한에 있는 모든 남측 자산을 청산하겠다고 위협하면서 그간 남북이 맺어온 경제협력 및 교류사업 등 모든 합의를 무효화하겠다고 선언했다.

북한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는 지난 10일 “이 시각부터 북남사이 채택 발표된 경제협력 및 교류사업과 관련한 모든 합의들을 무효로 선포한다”며 “남조선괴뢰패당이 일방적으로 금강산 관광과 개성공업지구 가동을 전면중단한 것만큼 우리는 우리 측 지역에 있는 남측 기업들과 관계 기관들의 모든 자산을 완전히 청산해버릴 것”이라고 위협했다.

이에 우리 정부는 “결코 묵과할 수 없는 도발적 행위”라며 즉각 대응했다.

통일부는 같은 날 대변인 성명을 통해 “북한이 우리와 국제사회의 정당한 제재조치를 저급한 언사로 비방하면서 남북 간 합의를 무효화하고 북한 내 우리 자산을 청산하겠다고 한 것은 결코 묵과할 수 없는 도발적 행위”라며 “정부는 이를 강력히 규탄하며 이 같은 일방적 주장은 절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라고 명백히 밝혔다.

북한이 민감하게 대응하는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안을 비롯한 개성공단 전면 중단 및 우리의 독자제재는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잇단 도발을 감행한 북한이 자초한 행위이자 이에 대한 응당한 조치라는 지적이다.

이어 성명은 “북한은 우리 국민의 소중한 재산을 절대로 훼손해서는 안 될 것이며, 그에 따른 모든 책임은 북한 당국이 져야 할 것”이라고 응수했다.

박진여 기자 (parkjinye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박진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