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준 "김무성 권력자 발언 팩트 아냐"
28일 'CBS 라디오'서 "정의화 중재안으로도 부족"
유기준 새누리당 의원은 28일 지난 2012년 이른바 국회선진화법으로 일컬어지는 국회법 개정 과정과 관련한 김무성 대표의 '권력자' 발언에 대해 "팩트가 아니라고 본다"고 주장했다.
'친박 중진' 유 의원은 이날 오전 'CBS 라디오'에 출연해 "(국회법 개정안 처리를 위한)18대 국회 마지막 본회의에 출석한 의원은 192명이었고 그 중 127명이 찬성. 반대나 기권은 65명이었는데 새누리당 의원들도 기권을 많이 했고 (친박의) 저나 최경환·윤상현·이성헌 전 의원 이런 분들도 반대나 기권을 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유 의원은 "만약 말 그대로 권력자가 찬성을 해서 이렇게 됐다고 한다면 당연히 당론으로 채택을 해야 될 것이고 그렇게 되면 새누리당 의원들 거의가 찬성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그런데 지금 나타난 결과는 반대, 기권 의원이 65명이나 된다. 그 중엔 새누리당 의원들이 많은데 그 결과만 봐도 그것은 그렇게 될 상황이 아니지 않나"고 강조했다.
이어 "친박, 비박 구별 없이 개인의 소신에 따라서 또 자유 의사를 가지고 투표에 임했던 것이지 그렇게 해서 찬성이 많아지고 그런 것은 아니었다고 본다"며 "아마 국회 선진화법 개정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그 당시 상황을 과장되게 말씀하신 것으로 보이고 어쨌든 사실 관계에 있어서는 그런 사항은 아니라는 것을 다시 한 번 말씀을 드린다"고 김 대표의 주장을 재차 반박했다.
그는 '친박계와 대통령이 자기 반성부터 해야 한다'는 의견에 "그렇게 말씀하신다고 하면 그 당시 통과를 막지 못했던 우리 새누리당 의원들 모두의 책임이라고 할 수 있다"며 "나도 기권을 했다. 그 당시 좀 더 설득을 해서 왜 그렇게 기권이나 반대를 통해서 통과를 막지 못한 것에 상당히 반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이전에 그런 일이 있었던 것은 과거로 지나가버린 일이고 앞으로 어떻게 우리 대한민국의 미래를 국회에서 설계하고 해결하는 이게 중요한 때"라고 덧붙였다.
정의화 의장이 발의한 일명 '정의화 중재안'에 대해선 "우리 헌법이 정하고 있는 근본적인 것은 다수결의 원칙"이라며 "출석 의원 과반의 찬성으로 가결하는 그런 기본적인 제도가 채택이 되어야 된다. 이제라도 파행된 국회의 일정을 국회가 정상적으로 돌려놔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의장의 안에 따르면 의결정족수를 기준 현행 5분의 3에서, 신속처리 안건에 대해서 5분의 3에서 재적의원 과반수로 완화하고 또 심사기간을 330일에서 75일로 단축하기로 한다.
유 의원은 "내 입장에선 그것도 부족하고 전면적인 법 개정, 선진화법 자체의 내용들을 원래의 다수결 원칙으로 돌아가는 그것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또 최근 당내 쟁점인 공천관리위원장과 관련, "어느 계파가 누가 좋다 이렇게 하는 것보다 공천이라는 과정은 당에서 필요한 인재를 국민에게 선보이고 유권자들에게 추천드리는 것인데 당을 잘 알고 정치 전반에 걸친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분이 필요하다"며 "이한구 의원님은 대구 출신 4선 의원으로서 이러한 것이 적합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비박계가 공관위원장으로 미는 것으로 알려진 김황식 전 국무총리에 대해선 "이전에 정홍원 총리도 우리 당의 공관위원장을 하셨기 때문에 그런 부분들은 플러스가 될 것"이라며 "둘 중에 누구라도 괜찮다 이런 말씀을 드린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 기준에 부합하는 인물이 적합하게 선정이 된다면 좋겠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조훈현 9단과 김연아 전 피겨선수 인재영입설에 대해 "그런 분들은 어떤 의사를 갖고 있는지 확인을 안 해봤지만 그렇게 사회 각 분야에 걸친 인재들이 새누리당의 문을 두드린다고 하는데 계속해서 외면하고 인재영입을 하지 않고 또 우리 당 인재영입위원장까지도 공석"이라며 "이런 상태로 선거에 임한다고 한다면 뭔가 전략부재라고 보고 있다"고 우려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