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결국 선대위는 '허수아비' 진검승부는 비대위서


입력 2016.01.28 06:35 수정 2016.01.28 08:35        이슬기 기자

더민주, 비대위원 발표 실권 이원화 괴상한 이중구조

"의결과 실무 맡아" 설명 결국 최고위 권한은 비대위로

2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제4차 중앙위원회의에서 대표직에서 물러나는 문재인 대표와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선출된 김종인 비대위원장 겸 선대위원장이 함께 손을들어올리고 있다. 문재인 대표는 대표취임 353일만에 중앙위를 끝으로 김종인 위원장에게 전권을 이양하고 대표직에서 물러나 평당원으로 백의종군 한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선대위? 사실상 허수아비지 뭐.”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김종인 선대위원장 겸 비대위원장에게 전권을 공식 이양한 27일, 범친노계 한 의원은 “원래는 선대위와 비대위가 일치돼야 말이 되는 거 아니냐”라며 이같이 말했다. 선대위의 실효성에 대해선 “이번 선거에선 ‘선대위 선거’가 안될 거다. 실제 표몰이 할 사람들은 따로 있을 것 같다”고도 했다.

그는 이어 “위원장이 똑같으면 선대위가 곧 비대위가 돼야 하는데, 뭔가 가운데서 문제가 있었다”며 “비대위에 실권이 있으니 사실 선대위야 뭐가 있겠나. 허깨비지”라고 말했다. 비대위 구성에 대해선 “확실한 건 ‘친노색’을 빼겠다는 것에 우선 꽂혀서 일단 거기에 맞춘 것 같다”며 “비대위를 단촐하게 만들다보니 이원화가 된 건데 내가 봐도 좀 이상하다”고 덧붙였다.

더민주는 이날 김종인 선대위원장이 비대위원장을 겸하도록 하는 비대위 구성안을 최종 심의·의결했다. 비대위는 김 위원장이 전권을 갖고 임명한 박영선·우윤근·변재일 의원과 이용섭 전 의원, 표창원 전 경찰대 교수와 김병관 웹젠 이사회 의장으로 구성됐다. 동시에 문 대표는 전당대회 353일만에 모든 권한을 이양하고 향후 총선정국에서 백의종군한다.

다만 앞서 발표한 선대위와 구성 인원이 달라지면서 자연히 ‘실권’에 대한 논란이 제기됐다. 김 위원장은 지난 22일 16명의 선대위 명단을 발표한 바 있다. 여기엔 이병석·박영선·우윤근·최재성·박범계·진선미·유은혜 의원과 김영춘·정장선·이용선 전 의원, 손혜원 홍보위원장이 합류했고, 최근 외부인재영입으로 당에 합류한 표창원 전 경찰대 교수, 이철희 두문정치연구소장, 김병관 웹젠 이사장, 양향자 전 삼성전자 상무, 이수혁 전 6자회담 수석대표도 이름을 올렸다.

일단 당내에선 의결기구와 실무기구가 각각 필요하기 때문에 구성을 따로 했다는 설명이다. 비대위가 최고위의 전권을 위임받아 당무 등을 관장하는 의결기구 역할을, 선대위는 선거 관련 실무를 담당하는 역할을 맡기 위해 분리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위원장이 같은 상황에서 최종 의결 기구가 따로 구성된 만큼 ‘선대위 무용론’이 회자됐다. 이에 대해 당 관계자도 “비대위가 논의를 해도 의결기구인 비대위에서 통과가 안되면 실효성이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날 공개된 비대위가 김 위원장의 ‘세력 확보’를 염두에 둔 구성이란 해석도 나온다. 물론 표면적으론 위원들의 지역 안배와 당직 경험 등의 균형을 맞췄다. 박영선(서울 구로)·우윤근 의원(전남 구례)은 원내대표를, 변재일 의원(충북 청원)과 이용섭 전 의원(광주)은 정책위의장을 역임했고, 김병관 이사(전북 정읍)와 표창원 전 교수(경북 포항)도 실질적인 정책에 필요한 논의를 할만한 경력을 갖췄다는 게 김 위원장의 설명이다. 담당 지역구 및 출신 지역에 따른 안배도 고려했다.

하지만 문 대표가 후방으로 완전히 물러난 상황에서 김 위원장이 전권을 제대로 펼치기 위해선 이른바 비노계이자 ‘키맨’으로 불렸던 박영선 의원을 주춧돌로 본격적인 세력화에 나설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실제 지난달 더민주의 연쇄 탈당이 한창이던 당시 국민의당 측에서 박 의원에 잇단 러브콜을 보내면서, 신당 성공 여부의 키를 쥔 박 의원의 행보가 야권의 핫이슈로 떠오른 바 있다. 하지만 문 대표가 ‘김종인 카드’를 전격 공개한 직후 정치권에선 ‘박영선 잔류설’이 힘을 얻었고, 곧바로 현실이 됐다. 박 의원이 김 위원장을 ‘30년 인연’으로 지칭하는가 하면 당 안팎에서도 박 의원을 두고 ‘김종인 사람’이라고 할 만큼 두터운 관계 때문이다.

한편 강운태 전 광주시장의 복당 문제를 두고도 김 위원장과 당내 주류 간 ‘미묘한’ 분위기가 형성되는 모습이다. 김 위원장이 강 전 시장에 직접 전화를 거는 등 복당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강 전 시장도 “김한길·안철수 전 대표가 탈당했으니 내가 돌아오지 않을 이유가 없다”며 복당을 검토하고 있지만, 당 일각에선 반발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당내 광주 지역 관계자는 “광주 민심이 정말 최악이었는데, 문 대표가 김종인체제에 전권을 주고 물러나겠다고 한 다음부터 그나마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 그래도 아직 멀었다”면서 “아직 성난 민심 달래려면 멀었는데, 여기다 ‘구 정치인’ 이미지인 강운태 전 시장을 다시 데리고 오면 ‘이것들 달라진줄 알았는데 똑같네’라고 생각하지 않겠나. 돌아오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주류계 관계자 역시 “김 위원장이 강 전 시장에 일명 러브콜을 보냈다는 것에 대해 문재인 대표와는 이야기된 게 아닐 것”이라며 사견을 전제로 “그 부분에 대해선 대표의 의중과 연관이 없는 걸로 안다”고 말했다.

아울러 문 대표가 영입한 외부인사 등으로 구성된 뉴파티위원회도 이날 성명을 내고 "강 전 시장의 복당이 쇄신과 혁신으로 호남에서의 세대교체와 세력교체를 추진해 온 당의 입장과 부합하는 지 의문"이라며 "강 전 시장의 복당 결정에 앞서 광주시민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야 한다"고 제동을 걸었다.

이슬기 기자 (wisdo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슬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