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인과관계 입증어렵지만, 독립적 지원보상위 결성 ”
"검증위 지원보상안 적극 수용…화학물질관리방법 등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
SK하이닉스는 반도체 사업장과 직업병 간 인과관계 입증 어렵지만 안전한 작업환경 구축을 위해 산업보건안전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강화해나갈 방침이다.
SK하이닉스 산업보건검증위원회(검증위)는 25일 서울 광화문 교보빌딩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난 1년 간 SK하이닉스 사업장을 대상으로 실시한 산업보건 역학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산업보건검증위원회는 논란이 되고 있는 반도체 직업병 검증을 위해 구성됐으며, 조사의 객관성 확보를 위해 검증위에 소속된 외부인사 7명(산업보건전문가 5명, 시민단체 관계자 1명, 법률 전문가 1명)은 회사의 개입 없이 독립적으로 선정됐다.
SK하이닉스는 이번 산업보건검증위원회의 활동을 통해 회사의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함으로써 반도체 사업장으로서는 세계 최초로 외부 객관적 위원회를 통한 산업보건 역학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가장 오래된 공장인 청주 M8라인과 이천 P&T공장을 대상으로 연구·조사했음에도 반도체 사업장과 직업병 간 인과관계 평가는 근본적으로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SK하이닉스는 검증위원회의 제안을 전격 수용, 기업의 사회적 역할에 기반해 의심사례로 나타난 전 질환환자를 대상으로 지원과 보상을 실시할 계획이다.
회사 측은 “전현직 SK하이닉스 임직원 뿐만 아니라 협력사 직원까지 지원·보상 대상에 포함함으로써 산업보건 지원·보상 시스템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갈 것”이라며 “빠른 시간 내에 노사와 사외 전문가들로 구성된 독립적 지원보상 위원회를 결성해 관련 질병 지원·보상 절차를 마련해 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회사 측은 “메모리반도체 분야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서 더욱 안전한 작업환경 구축을 위해 산업보건안전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화학물질관리방법 등 작업환경 분야와 사내 조직 신설 및 복지제도 개선과 안정보건과 관련해 검증위의 개선안을 수용하고 시행해 나갈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SK하이닉스는 현재 이천과 청주 사업장을 기준으로 1230억 원의 안전보건 관련 투자를 집행하고 있다. 이를 매년 10%씩 늘려 2017년까지 3년 간 총 4070억 원의 재원을 안전보건관리 및 시설 강화에 투입하고 상시 안전점검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회사의 성장을 함께했던 분들의 노고에 대해 항상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다. 앞으로도 열린 소통을 기반으로 더욱 건강하고 안전한 사업장으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