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S 장례위원 2222명 확정, 김무성 "통합과 화합"
유족 측 강한 요구에 김봉조 민주동지회 회장 부위원장 포함돼
24일 고 김영삼 전 대통령의 장례위원회 명단이 2222명으로 확정 발표된 가운데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그 의미에 대해 "통합과 화합"이라고 밝혔다.
김 전 대통령의 '정치적 아들'을 자처하는 김 대표는 이날 오후 김 전 대통령의 빈소에서 기자들과 만나 "김 전 대통령께서 서거하시기 전 마지막 하신 대국민 메시지"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대표는 "이 땅의 민주주의를 위해 같이 투쟁하던 동지들, 대통령이 된 뒤 개혁을 할 당시 대통령을 도왔던 여러 참모들, 김 전 대통령이 대통령 당선되는 것을 보지 못하고 돌아가신 김동영 전 의원의 미망인, 서석재 전 총무처장관 들도 포함시켰다"며 "또 우리 민주화에 큰 역할을 했던 민주화추진협의회의 동지들을 모두 포함시켰다. 상도동계와 동교동계가 총망라된 분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통합 차원에서 전직 대통령들도 다 모시기로 했다"고 부연했다.
모든 일정을 취소하고 사흘째 빈소를 지키고 있는 김 대표는 힘들지 않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당연히 해야할 일"이라며 "김 전 대통령을 모셨던 분들 모두 상주의 역할을 충실히 잘 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족 요청에 따라 추가로 부위원장에 포함된 김봉조 민주동지회 회장은 취재진에게 "국가장으로 처음 실시하기 때문에 정부측에서 꼭 들어가야 할 인사가 포함됐다"며 "민주화는 시대와 지역을 초월하는 화합의 길이기 때문에 민주화를 위해 함께 투쟁했던 동교동계 사람들을 포함시켰다"고 부연했다.
그는 "어른(김 전 대통령)이 DJ(김대중 전 대통령)와 후보단일화를 해서 지역감정을 없애겠다는 게 숙원이었다"며 "어른이 남긴 통합과 화합의 정신으로 이번 기회에 지역감정이 타파됐으면 하는 유족과 동지의 뜻이 있다는 점을 알아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편 앞선 오후 행정자치부는 유족측 추천인사 1414명을 포함한 김 전 대통령 장례위원회 2222명에 대한 구성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국민장 장의위원 1404명 보다는 많고 김대중 전 대통령 국장 장의위원 2375명보다는 약간 적은 규모다.
위원장은 황교안 국무총리가 맡으며 부위원장에는 정갑윤이석현 국회 부의장과 함께 이정미 헌법재판소 수석재판관, 황찬현 감사원장, 홍준표 경상남도지사, 김봉조 민주동지회 회장 등 6인으로 구성됐다.
고문에는 반기문 UN 사무총장과 김종필고건정운찬 전 총리, 전두환 전 대통령,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서청원 새누리당 최고위원, 손학규 새정치민주연합 전 상임고문 등을 포함해 총 101명이 짜여졌다.
집행위원장은 정종섭 행정자치부 장관이 맡았으며 위원에는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윤병세 외교부 장관, 한민구 국방부 장관, 김종덕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강신명 경찰청장으로 포함됐다.
장례위원은 △입법부(원내대표, 상임위원장, 국회의원) 248명 △사법부 30명 △선거관리위원회 및 민주평통 29명 △행정부 장·차관(급) 126명 △대통령 소속 위원회 19명 △군 장성 8명 △지방자치단체장(시·도지사, 동작구청장, 거제시장) 18명 △국·공립 및 사립대학교 총장 196명 △경제계·언론계·방송계·종교계 등 각계대표 87명 △기타 1347명 등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