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작전 하듯..." vs "절차 다 거쳤는데..."
전혀 좁혀지지 않는 여야 "역사 쿠데타"와 "정치 공세"로 대립
국회 교육문화관광위원회 야당 간사인 김태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3일 있었던 황교안 총리의 확정고시 발표를 ‘역사쿠데타’로 규정하면서 “군사작전 하듯이 아주 일방적으로 밀어붙였다”고 4일 평가했다.
김 의원은 이날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행정예고기간에 접수된 국민 의견 중 68%가 반대 의견인데 이것이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가장 오른쪽에 서서 왼쪽을 보면 당연히 좌로 보인다”며 “새로운 독재의 시작을 알리는 것이 아닌가 싶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김 의원은 또 전날부터 ‘민생’을 강조하며 이슈 전환을 시도하는 새누리당을 향해서도 “새누리당이 민생을 말할 자격이 있는지 모르겠다”며 비난을 이어갔다. 그는 “민생을 가장 우선순위에 두고 잘 챙겨야할 중요한 시기에 국정교과서 문제로 국민을 분열시키고 사회적 논란을 만드는 게 지금 집권여당과 대통령이 할 일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그는 “본인들이 평지풍파를 만들어놓고 느닷없이 민생을 이야기 한다는 것은 누가 들어도 우스운 이야기”라며 “지급이라도 국론분열에 대해서 집권세력과 대통령이 사과하는 것이 유일한 해법”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날 함께 출연한 새누리당 전략기획본부장인 권성동 의원은 김 의원의 발언에 대해 조목조목 반대 의견을 들며 팽팽한 신경전을 보였다.
권 의원은 김 의원의 ‘일방적인 군사작전’주장에 대해 “법적절차를 다 거치고 충분히 논의를 했다”며 오히려 김 의원의 ‘새로운 독재’발언에 대해 “그것이야말로 정치공세”라고 평가했다.
‘좌편향된 교과서는 수정을 거치기 전의 교과서’라는 의견에 대해서도 권 의원은 “수정명령을 내리니까 마지못해서 북한의 남침사실을 앞에 집어넣고 바로 뒤에 전쟁발발의 책임을 남북한 모두에게 있는 것처럼 묘하게 기술했다”며 “이것을 악마의 편집이라고 한다”고 강조했다.
권 의원은 이어 “국정화와 검·인정의 권한은 국회가 아닌 행정부의 권한”이라며 “국회의 권한도 아닌 일을 가지고 소위 사생결단 식의 싸움을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확정고시로) 문제가 일단락 된 만큼 이제 국회는 본연의 기능인 입법·예산 기능을 담당해야할 때”라며 야당의 장내 복귀를 촉구했다.
한편 새정치연합은 3일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에 반발해 ‘농성’ 등 투쟁에 나서면서 19대 마지막 정기회를 한 달여 남긴 국회는 예산과 입법 등 산적한 현안이 쌓인 채 ‘올 스톱’된 상태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