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여야 10.26 행보 '박정희 추도식 vs 김구 기념관'


입력 2015.10.26 17:34 수정 2015.10.26 17:37        스팟뉴스팀

여야, 국회 바깥에서도 '역사 교과서' 논쟁 치열

고 박정희 전 대통령 서거 36주기이자 안중근 의사의 이토 히로부미 저격 106돌인 26일 여야는 각각 다른 행보를 보였다. 왼쪽은 새누리당 의원들이 박 전 대통령 36주기에 참석한 모습. 오른쪽은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이 효창공원을 찾은 모습. ⓒ연합뉴스

고 박정희 전 대통령 서거 36주기이자 안중근 의사의 이토 히로부미 저격 106돌인 26일 여야는 각각 다른 행보를 보였다.

새누리당 이인제 최고위원과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 한선교 의원 등은 서울 동작구 국립 서울 현충원을 찾아 민족중흥회 주관으로 개최된 박 전 대통령 36주기 추도식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 참석하지 못한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원유철 원내대표는 조화를 보내 추모했다.

이날 박근혜 대통령은 추도식 행사에 참석하지 않았다. 박 대통령은 취임 첫해부터 행사에 참석하지 않았는데 민간이 주최하는 행사에 참석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판단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인제 최고위원은 26일 국회에서 여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박정희 대통령은 독재라는 수단에 대해서는 비판을 받아야 되겠지만 대한민국 산업화를 성공시킨 위대한 전략가이고 지도자”라며 “(박 전 대통령을) 그 자리에 갖다놔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한국의 현대사는 위대한 도전과 성취의 역사”라며 “해방공간에서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기둥으로 하는 대한민국이라는 민주공화국을 건설했고, 산업혁명을 통해서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으로 도약했다”고 강조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같은 날 오전 효창공원을 찾아 삼의사(이봉창, 윤봉길, 백정기) 묘와 김구선생 묘를 참배한 뒤 안중근 의사 가묘에 헌화한 뒤 당 최고위원회의를 백범 김구 기념관에서 열었다.

이 자리에서 문재인 대표는 “대통령만 옳다고 믿는 역사관을 국민 모두에 강요하는 일이 없기 바란다. 국민이 시정연설에서 기대하는 것은 역사전쟁 선전포고가 아니라 역사 국정교과서 포기 선언”이라고 언급하며 27일 박근혜 대통령의 시정연설을 집중 겨냥하는 모습을 보였다.

스팟뉴스팀 기자 (spotnew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스팟뉴스팀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