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금융악 척결 5개월, 금융사기 피해액 크게 줄었다
지난해 하반기 월평균 337억에서 올 상반기 261억, 7~8월 190억으로 감소
환급금액 비율도 17.7%에서 35.6%로 늘어 7~8월 순피해액 122억 수준
금융당국이 지난 4월부터 '5대 금융악 척결'에 나선지 5개월만에 금융사기 피해액이 절반 가량 줄었다.
금융감독원은 14일 금융사기 피해가 지난해 하반기 월평균 337억원에서 올 상반기 261억원으로 '그놈 목소리' 공개 이후인 7~8월에는 190억원으로 감소했다고 밝혔다.
또한 피해자금 인출 지연 조치 등에 힘입어 최초 피해금 대비 환급금액 비율이 대폭 개선되고 이에 따라 실제 피해액도 감소했다.
환급금액 비율은 지난해 하반기 17.7%에서 올 상반기 30.7%, 7~8월에는 35.6%로 늘었다. 이에 따라 순피해액은 지난해 하반기 277억원에서 올 상반기 181억원, 7~8월에는 122억원으로 감소했다.
특히 피싱사기의 경우 환급금액 비율이 지난해 하반기 20%에서 올 상반기 35.1%, 7~8월에는 45.7%까지 개선됐다.
대포통장 발생건수도 지난해 하반기 월평균 8980건에서 올 상반기 5843건, 7~8월 4342건으로 감소 추세며, 발급된 후 즉시 사기에 이용되는 계좌의 비율도 지난해 10~12월 49.5%에서 올 4~6월 17.2%로 급감했다.
불법사금융 피해신고센터를 통한 불법사금융 및 불법채권 추심 관련 신고·상담 건수도 전년 동기와 비교해 감소했다.
고금리는 지난해 하반기 644건에서 올 상반기 533건, 불법채권추심은 1627건에서 1554건, 불법중개수수료는 90건에서 46건으로 줄었다.
금감원은 민·관 합동 공조체계를 한층 강화해 '민생침해 5대 금융악 척결 특별대책'을 차질 없이 이행하고, 미비점은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갈 계획이다.
또 지연인출제 등 금융사기 피해예방을 위한 제도적·기술적 방안들을 일정대로 추진하고 안정적인 정착을 유도할 방침이다.
아울러 한·중·일 3국의 보이스피싱 피해유형이 유사하고, 일본·중국도 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3국간 공동대응 등 국제공조를 강화할 예정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