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오픈프라이머리와 권역별 비례대표제 '빅딜'한다고?


입력 2015.08.03 10:58 수정 2015.08.03 11:04        하윤아 기자

새누리 정병국·새정치 이상민 "당론 아냐" 선 그으면서 '빅딜' 열어둬

국회에서 선거구 획정 문제와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도) 등의 논의를 위한 정치개혁특별위원회 공직선거법심사소위원회가 진행되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선거제도 개편을 두고 정치권에서 논란이 야기되고 있는 가운데, 새누리당이 주장하는 국민완전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와 새정치민주연합이 주장하는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을 두고 양당간 ‘빅딜’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정병국 새누리당 의원은 3일 MBC 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여당이 주장하는 오픈프라이머리, 야당이 주장하는 권역별 비례대표를 같이 해서 논의를 해야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라고 견해를 밝혔다.

정 의원은 이어 “빅딜하기 위해 빅딜하는 게 아니라 이번 정치개혁의 요체가 결국 ‘공천권을 누가 갖느냐, 그리고 고질적인 지역구도를 어떻게 타파할 것이냐’인데 이런 관점에서 논의하게 되면 조율할 수 있다는 것”이라며 빅딜 가능성을 열어뒀다.

다만 정 의원은 각 당이 주장하고 있는 선거제도 개편 방안을 함께 두고 합의하는 것에 대해 “아직 당론으로 논의한 바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그는 “새누리당에서 주장하는 것(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해 야당은 계파간의 이해관계 때문에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고, 또 우리 당의 입장에서는 우리에게 불리하니까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받을 수 없다고 하는 데 그것은 국민이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국민이 바라는 정치개혁이 어느 방향이냐를 놓고 허심탄회하게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출연한 이상민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도 이른바 빅딜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이 의원은 “개인적 생각으로는 저희도 오픈프라이머리 일부 수용에 대해선 검토 의견이고 또 권역별 비례대표도 한국정치 결함을 넘어설 수 있는 좋은 제도인만큼 같이 합의에 이르는 것도 한 방안이라고 생각한다”고 견해를 피력했다.

그 역시 “당내 공론화 과정을 아직 거친 것이 아니고 당의 입장이 정리된 것은 아니다”고 선을 그었지만 “아주 제한된 범위 내에서, 원칙적으로 오픈프라이머리를 대폭 수용하고 권역별 비례대표를 전면도입하고 하면 양당의 접점을 찾을 수 있다고 본다”고 여지를 남겼다.

앞서 1일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인 이병석 새누리당 의원은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오픈프라이머리와 권역별 비례대표제 맞교환을 언급해 정치권 일각에서 ‘빅딜설’이 제기됐다.

이후 2일 김영록 새정치연합 수석대변인도 브리핑에서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오픈프라이머리 TF 구성을 제안한 것과 관련, “기득권 지키기를 위한 것이 아니라면 차라리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함께 묶어 논의해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해 빅딜 가능성에 무게가 실렸다.

하윤아 기자 (yuna111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하윤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