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노동계, 표 심판 주장말고 대안갖고 논의"
최고중진연석회의 "노동계의 일방적 희생 요구 아냐"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22일 노동분야 구조개혁과 관련해 "피할 수도 없고 피해서도 안 될 그런 국가적 과제"라고 밝혔다.
김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연석회의에서 "노동시장의 이중적·모순적 구조를 해결하고 타파하지 않으면 우리나라의 미래는 암울하고, 우리 정치권과 기성세대는 역사 앞에 큰 죄를 짓게 되는 것"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김 대표는 먼저 "오늘 고위 당정청회의에서 노동개혁을 포함해서 여러 가지 국정현안을 심도있게 논의할 예정"이라며 "대통령께서 노동개혁은 생존을 위한 필수전략이다 경제 재도약 세대간 상생을 위한 시대적 과제라고 말씀하셨다"고 언급했다.
김 대표는 특히 "노동개혁은 격차해소와 상생협력에 방점이 주어져야 한다"며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불합리한 차별을 없애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성장을 모색하고, 청년층과 장년층의 상생을 위한 것이지 노동계의 일방적인 희생만 요구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라고 역설했다.
또 "노동개혁은 정부의 소통, 기업의 배려, 노동계의 양보 등 노·사·정 3박자 화합이 잘 어우러져야 성공이 가능하다"며 "새누리당도 우선 노동계와 대화채널을 구축하고, 노동계의 의견을 듣는 것부터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노동계 역시 새누리당을 반노동 정당 표로 심판하겠다고 할 것이 아니라 나라를 위한 일 무엇인지 논리적 근거 대안 가지고 시작해보자"고 제안했고 야당에게도 "선순환을 위해서 노동부분 무엇이 필요한지 나름의 개혁안을 내놓고 동의를 구하는 정책정당의 모습을 보여달라"고 말했다.
이어 김 대표는 지난 20일 시작된 맞춤형 기초생활보장제도 급여 지급과 도입 1년을 맞은 기초연금제도와 관련해 "복지의 양대축이라 할 수 있는 이들 제도가 어렵고 고단한 국민들의 든든한 받침대가 돼서 어려운 국민 얼굴에 웃음꽃이 피어나도록 당정청이 한마음이 되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특히 "복지행정의 승패 여부는 확인에 달렸으며 작은 실수로 전체를 망가트리고 질타받을 수 있다"며 "맞춤형 급여제도를 몰라서 못 받지 않게 홍보와 안내에 집중하고 신경써주기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