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혁신안 두고 고성오간 새정치 중앙위, 결론은 '통과'


입력 2015.07.20 17:45 수정 2015.07.20 17:46        이슬기 기자

투표방식 두고 고성 오가기도, 9월 중앙위서 '예민한' 의제 상정해 갈등예고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와 이종걸 원내대표를 비롯한 최고위원 등 참석자들이 20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중앙위원회의에서 박수를 치고 있다.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20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중앙위원회의에서 문재인 대표의 축사를 중앙위원들 및 참석자들이 경청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새정치민주연합이 20일 중앙위원회를 소집하고 ‘우여곡절’ 끝에 당 혁신위원회의 혁신안을 통과시켰다. 최종 결정이 나기 직전까지 혁신안 내용은 물론, 일괄투표냐 항목별 분리투표냐 여부를 놓고서도 갈등이 빚어지면서 위원들 간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

문재인 대표는 이날 중앙위 산회 후 기자들과 만나 이같은 내부 갈등을 의식한 듯 “오늘 통과된 혁신안이 전부가 아니다. 앞으로 혁신위원회가 더 강도높은 혁신방안을 마련해서 9월 중앙위에서 처리할 것”이라며 “혁신안보다 오히려 우리당 구성원 상호간 신뢰와 단합이 더 중요하다. 혁신안도 우리 당원들 단합 속에서 실천이 돼야 효과가 제대로 발휘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중앙위에는 재적 555명 중 395명이 참석, 찬성 302표로 최종 통과된 혁신안에 따라 △부정부패 등으로 직위 상실시 재·보궐선거 무공천 △부정부패연루 당직자의 당직 박탈 △사무총장제 폐지 △당무감사원 설립과 당원소환제를 도입이 당헌·당규에 명시된다.

다만 최고위원회 폐지 등 일부 민감한 사안은 당내 접점을 찾지 못한 데다, 혁신위 내부에서도 대안을 논의 중인 만큼, 이번 의결 사항에서는 제외하고 오는 9월 중앙위원회에서 처리키로 했다. 아울러 논란이 됐던 당 정체성 부분 역시, 향후 혁신위 내부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김상곤 위원장은 “당의 정체성, 정치개혁 문제, 공천의 민주성 문제, 통합과 단결을 위한 안을 저희가 더 구상하고 제안하려 한다”며 “이런 안들은 오늘 제의했던 안보다 훨씬 더 복잡할 뿐 아니라 폭 넓고, 한국 정치 전반과 관련된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최고위 폐지의 대안을 묻는 질문에는 “지금 논의 중이라 지금 여기서는 말씀을 드릴 사안이 없다”고 선을 그은 뒤, “최고위를 대체할 지도체제가 민주성과 대의성, 대표성을 더 강화할 수 있는 현대적 정당의 지도부로 거듭날 수 있도록 구상하고 있다”고만 답했다.

아울러 당내 반발이 거센 대 대해선 “이번에도 중앙위가 열리기 전에 혁신위원들이 가능한 한 많은 소통과 공감을 하려고 노력했다. 앞으로 9월 중앙위에 부의할 제안들이 더욱더 많은 공감과 소통 속에서 이해도가 높아질 수있도록 최선 다할 것”이라고 말했지만,

한편 이날 중앙위에 앞선 열린 의원총회에서는 혁신안을 두고 의원들 간 격론이 벌어졌다. 이언주 원내대변인에 따르면, 이 자리에서 홍일학·김성곤 의원은 전국 정당화 방안과 ‘다섯 본부장 체제’ 채택 시 업무 통합 조정 기능의 부재를 문제 삼았다. 강기정 정책위의장도 “혁신위가 마치 당헌당규 개선위원회 같다. 혁신위로 지지율이 오를것인지도 의문”이라며 “선거 패인을 분석하고 탈당 움직임의 원인을 분석해서 통합을 위한 조건을 고민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당 계파 갈등과 관련한 목소리들도 제기됐다. 김동철 의원은 문 대표의 ‘살신성인’을 촉구하며 이메일을 통해 “문재인 대표 사퇴 후 대선 주자급(문재인, 안철수, 박원순, 안희정, 김부겸 등)으로 비대위를 구성해야한다”고 주장한 반면, 우상호 의원은 “호남의원이라는 것을 구실로 당을 깨자느니, 신당이니 분당이니 이런 말 운운 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반박했다.

이슬기 기자 (wisdo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슬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