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문종 "친박계가 공천 개입? 오픈프라이머리하자니까"
친박(친박근혜)계로 분류되는 홍문종 새누리당 의원은 16일 향후 당의 공천 방향이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홍 의원은 이날 KBS라디오에 출연해 "최근 친박계가 대거 당직에 인선되면서 비박(비박근혜)계 측에서 청와대나 친박계가 내년 총선에 공천에 대거 개입, 자신들이 밀려나는 게 아니냐는 걱정을 하는 듯하다"며 이 같은 이유로 지분 요구가 배제되는 완전국민경선제가 제대로 이뤄질지 의문이라는 물음에 대해 이 같이 말했다.
그는 "현재 당직을 맡고 계신 분들이 김무성 대표를 비롯해 면면을 살펴보면 친박, 비박이라고 하기 그렇다"며 "언론에서 색깔을 갈라놓는다고 해도 그분들이 확실히 계파색을 띠고 정치활동을 한 분들이 아니기 때문에 국민들이 우려 안하셔도 된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홍 의원은 이어 "이제 오픈프라이머리로 나가야 하는 건 확실한 것 아니겠느냐"며 "오픈프라이머리 정신을 어떻게 새누리당에 잘 접목시켜 국민들이 원하는 정당으로서 모습을 갖춰갈 수 있을지 이런 데에 김 대표도 관심을 갖고 있고 당원들도 고무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 아니냐고 본다"고 말했다.
특히 홍 의원은 완전국민경선제가 청와대-친박과 비박 간의 공천 지분 다툼이 아니라 "김 대표의 정치철학이 아닌가 싶다"고 분석했다. 그는 "김 대표가 두 번씩이나 공천에서 배제됐던 아픈 과거가 있어 이유 없이 공천에서 배제되거나 엉뚱한 공천이 이뤄지는 것을 없애는 유일한 방법이 오픈프라이머리라고 생각한 듯하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이면에 (오픈프라이머리에) '청와대는 개입하지 말라'고 말씀하는 분들이 있는데 저는 오픈프라이머리 자체도 많이 다듬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홍 의원은 앞서 국회법 개정안을 둘러싸고 박근혜 대통령과 유승민 전 원내대표 간 갈등이 있었던 데 대해서는 "대화의 부족이 있지 않았느냐는 생각"이라며 "유 전 원내대표가 조급증이 있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새로 만든 지도부가 전철을 밟지 않고 청와대와 긴밀히 소통해 여러 현안들을 잘 헤쳐나갈 수 있지 않겠느냐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그는 김 대표를 향해서도 뼈있는 말을 남겼다. 그는 "사실 당대표도 항상 의원들 사이에서 '소통이 덜 된다'는 얘길하고 있다. 김 대표를 얘기하는 게 아니라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여당대표"라며 "김 대표가 여당 의원들, 당의 의견을 잘 수렴해 청와대와 끊임없이 소통해 조율사 역할을 잘 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홍 의원은 또 '통 큰 사면론'과 관련 "아주 동의한다"며 "경제인들 부분에 관해서는 대폭 사면을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 경제구조가 아직은 어떤 수장이 어떤 결정을 내리느냐가 굉장히 중요하다"며 "그런 분들이 (형을 살면서) 어느 정도 대가를 지불했고 또 앞으로 대가를 지불할 마음으로 사회에 나와 경제활동을 한다면 결국 대한민국 경제에 플러스가 되지 않겠느냐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다"고 말했다.
한편 홍 의원은 국가정보원이 해킹 프로그램을 구입해 민간인 등을 사찰한 게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는 것과 관련 "야당이 우려하는 게 뭔지는 알겠지만 이건 당연히 있어야 하는 프로그램"이라며 "남북한 대치 상황이라 정부가 그 일을 간과해서는 안된다는 의미로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정치인이나 평범한 시민을 사찰한다는건 불가능한 시대가 돼있다"고도 강조했다.
아울러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장인 그는 감청 등과 관련된 통신보호비밀법 개정안 처리에 대해서는 "7월에는 국회 일정이 잡혀있지 않고 법사위에서 회부되는 것이기 때문에 8월 중 논의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