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구 떠난 빈 자리…차기주자형? 순장형?
노무현 정부의 이해찬, 이명박 정부의 김황식, 박근혜 정부는...
박근혜 대통령이 이완구 국무총리의 사표를 수리하면서 누가 차기 국무총리가 될지 정치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런 가운데 박 대통령이 정권재창출을 위해 차기 총리로 정치적 인물을 세울지 아니면 여러 현안을 정리하고 해결할 '순장형' 총리를 세울지에 관심이 쏠린다.
역대 정부를 살펴보면 집권 3년차에는 정권재창출을 위한 차기주자형 총리를 세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실제 노무현 정부 3년차였던 2006년에는 대권 잠룡으로 불리던 이해찬과 한명숙 총리가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또 이명박 정부 3년차인 2010년에는 잠룡으로 일컬어졌던 정운찬 서울대학교 총장이 총리 자리에 있었다.
이들 모두는 당시 정권의 2인자 등으로 불리면서 각 정당의 차기 대권후보로 거론되던 인물이었다. 이들이 집권 3년차 정부의 총리로 자리를 지키면서 정권재창출의 윤곽을 잡아갈 수 있도록 했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이 총리 사퇴를 계기로 박 대통령도 정권재창출과 집권 안정화를 위해 거물급 인사를 총리로 내세우고 국정 현안을 해결해 나갈지 관심이 쏠린다. 이제는 이를 신경써야할 시간이 됐다는 평가다.
박상철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 교수는 '데일리안'과 전화통화에서 "정권 3년차쯤 되면 '2인자'를 키우게 된다. 야당 등에 관한 견제용"이라며 "5년 단임제인 현 대통령제에서 반복되는 사이클"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평가에 적합한 인물로는 오세훈 전 서울시장과 김문수 전 경기지사가 있다. 이들 대부분 여권내에서 잠재적 차기 대권주자로 분류되면서 정권재창출을 위해 분투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총리를 거쳐 대권을 잡은 인물이 없었다는 점에서 박근혜 정부의 차기주자형 총리가 무난한 길을 걸을 수 있을지는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할 대목으로 꼽힌다.
반면 일각에서는 현재 박근혜 정부의 국정 난맥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차기주자형 총리보다 현안을 잘 해결하고 박근혜 정부의 성공을 이끌 수 있는 인물이 적합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차기주자형 총리라면 결국 정치인을 말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국민적 반감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도 임명 당시 새누리당 원내대표를 역임하고 있던 이완구 의원을 총리로 임명하면서 차기주자형 총리를 임명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 총리는 총리 임명으로 '충청 맹주'에서 '충청권 잠룡'으로 성장했다. 그러나 이 총리가 결국 '성완종 리스트' 파문을 넘어서지 못하고 사퇴하면서 국민적 여론은 더욱 거세게 반응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정치권 인물보다는 법조계나 학계 등에서 인물을 뽑아 실타래처럼 꼬인 박근혜 정부의 국정을 풀어가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는 결국 순장형 총리를 선임해 남은 3년을 잘 관리하는 쪽으로 국정운영의 방향을 잡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인물로는 이명박 정부 당시 김황식 전 총리를 들 수 있다. 김 전 총리는 이명박 정권 집권 3년차에 총리로 발탁된 이후 정권 마지막까지 정권을 잘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명재상'이라는 평가를 남기고 떠난 인물이다. 특히 김 전 총리는 이번 이 총리 낙마 사태를 계기로 다시 한번 차기 총리 후보자로 거론되고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