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백화점, 식품관 고급화로 명품관 매출까지 ↑
식품관 이용고객, 명품·해외패션 등 VIP 선호장르 구매율 높아
신세계백화점이 식품매장의 고급화로 식품은 물론 명품까지 매출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신세계백화점은 지난달 22일 식품관을 리뉴얼 오픈한 본점의 한 달간 식품 매출이 전년대비 20% 가까이 늘었고 동시에 명품도 9.2% 신장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현상은 센텀시티점에서도 나타났다. 지난 6월 식품관을 고급화한 '신세계 푸드마켓'으로 리뉴얼 오픈한 뒤 3개월 동안 식품은 56.5%, 명품은 11.7%가 늘었고 이로 인해 점포 전체 매출도 8% 가까이 신장했다.
신세계백화점은 최근 백화점 식품매장의 고급화가 단순히 집객만 하는 '분수효과'를 뛰어넘어 명품 구매고객을 끌어모으는 '황금분수효과'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황금분수효과는 지난 한 달간 본점 신세계 푸드마켓을 이용한 고객들의 연계구매(식품관 구매 고객이 식품 이외 타 장르의 상품을 구매하는 것) 패턴과 리뉴얼 이전 식품관 이용고객의 연계구매 비교에서 살펴볼 수 있다.
본점이 신세계 푸드마켓으로 식품관을 고급화하기 전 식품 이용 고객들이 가장 많이 연계구매한 장르는 '화장품'이었던 것에 비해 고급화 이후 식품 이용 고객들의 연계구매는 '명품의류 및 잡화' 등의 고가상품 위주로 바뀌었다.
한편 신세계백화점의 백화점 식품매장 고급화는 2012년 7월 청담동에 오픈한 'SSG푸드마켓'에서 시작됐다.
신세계백화점은 SSG푸드마켓에서 기대 이상의 성공을 거둔 뒤 식품의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시하고 전 세계 식료품을 찾는 고객이 패션이나 명품에 민감한 고객이라는 것에 주목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신세계백화점은 소비자들의 니즈에 부합한 무항생제육, 동물복지 농장 계란, 농장과 직거래한 친환경 유기농 야채, 전 세계의 프리미엄 식료품과 디저트, 트렌디한 맛집까지 프리미엄 식품관에 걸맞은 MD확대에 주력했다.
이후 센텀시티점을 시작으로 본점까지 SSG푸드마켓 청담점과 같은 프리미엄 식품관을 백화점 매장에 선보이기 시작한 것이다.
신세계백화점 식품생활담당 임훈 상무는 "'백화점에서 VIP급 고객을 줄 세울 수 있는 유일한 장르는 명품이 아닌 식품'이라는 말이 나올만큼 식품관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백화점 고객들의 달라진 니즈를 정확히 파악해 차별화된 상품을 선보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