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TI·LTV완화 한 달, 수도권 시총 1조7000억 늘어
서울 강남·서초·송파구 재건축 단지 중심으로 시가총액 상승
부동산 규제완화 기대감으로 상승세 이어질 전망
부동산 금융 규제 완화가 시행된지 한 달만에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 시가총액이 1조7000억원 이상 증가했다. 정부의 잇단 부동산 활성화 대책에 따른 시장 기대감상승으로 투자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3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8월 마지막 주 시세 기준 수도권 아파트(주상복합 포함) 353만6571가구의 매매가 시가총액은 1277조65억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DTI·LTV 완화 전인 7월 마지막 주 시가총액 1275조2344억 원보다 1조7721억 원이 증가한 수치다.
서울의 경우 아파트 시가총액이 7월 마지막 주 631조1300여억원에서 8월 말 632조3000여억원으로 한달새 1조1600여억원 늘며 전반적인 증가폭을 주도했다.
같은기간 경기는 5500여억원(540조3276억→ 540조8808억원), 인천은 500여억원(103조7740억→ 103조8243억원) 각각 증가했다.
이는 지난달 1일부터 적용된 DTI·LTV 완화로 자금여력이 생긴 실수요자들이 늘어난데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잇달아 인하하면서 투자수요도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김미선 부동산써브 연구원은 "대출에 대한 부담이 줄고 금리도 낮아져 매매로 선회하는 수요와 임대목적으로 매매에 나서는 수요가 늘어난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에서 아파트 매매가 시가총액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서울 강남구다. 7월 말 97조3000여억원에서 8월 97조8000여억원으로 5000억원 가까이 증가했다.
뒤를 이어 서울 서초구가 3600여억원 늘었고, 경기 성남시가 1500여억원, 서울 송파구가 1300여억원 증가했다.
특히 이들 지역은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시가총액이 증가했다. 강남구는 대치동 은마, 개포동 주공아파트를 비롯해 개포동 대청, 대치, 우성8차 등 리모델링 단지도 시가총액이 늘었다.
서초구 역시 반포동 및 잠원동 일대 재건축 단지들 시가총액이 증가했고 송파구도 잠실동 주공5단지, 가락동 가락시영 시가총액이 크게 늘었다.
경기 성남시는 수내동 양지금호, 서현동 시범한양, 삼평동 봇들4단지휴먼시아 등 분당과 판교 신도시 내 단지를 중심으로 시가총액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경기 광명시 시가총액이 957억원 늘었고 안양시가 758억원, 군포시가 504억원, 용인시가 445억원, 수원시가 382억원 증가했다.
김미선 부동산써브 연구원은 "많은 매도자들이 규제완화로 인한 기대감으로 거래를 보류하거나 매물을 회수하며 매도호가를 올리고 있어 당분간 매매가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