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카드사용액 '사상최대'…요우커 지갑을 열어라
경제전문가 "요우커 눈높이에 전략적-맞춤형 접근 필요"
요우커로 불리는 중국인 관광객의 급증에 힘입어 2분기 외국인의 국내 카드 사용액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2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외국인 관광객이 국내에서 쓴 카드 사용액은 29억1000만달러로 전분기 보다 31.2% 늘었다.
특히 7월 외국인 관광객으로부터 얻은 관광 수입도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이날 한국은행과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 따르면 7월 관광수입은 16억1천590만달러(약 1조6천480억원)로 지난해 동월보다 4억960만달러(34.0%)나 증가했다.
최근 관광수입의 증가는 ‘중국 큰 손’들의 영향이 컸다. 올해 1∼7월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336만 1654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5만 6466명(45.8%) 늘어 전체 외국인 관광객의 42.1%를 차지했다. 한국을 찾은 관광객 10명 중 4명 이상이 중국인인 셈이다.
7월 휴가철을 맞아 해외로 빠져나가는 한국인 관광객의 해외 관광지출이 사상 최대로 늘었지만 관광수지 적자폭은 오히려 줄었다. 7월 관광수지 적자는 2억780만달러로 지난해 7월(4억6천470만달러)의 44.7% 수준에 그쳤다.
2008년만 해도 외국인이 국내에서 쓴 카드 사용액은 내국인이 해외에서 쓴 규모의 35.5% 수준이었다. 이후 한류 열풍 등에 힘입어 요우커를 위주로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이 늘어나면서 이 비중은 2009년 50.1%, 2011년 53.3%, 2013년 80.7%로 급증하다가 올해 2분기 97.6%에 이르렀다. 조만간 외국인들의 지갑에서 나온 관광수입이 관광지출을 앞지를 것으로 보인다.
한국 찾은 관광객 10명 중 4명이 중국인 "고부가가치화 도모해야"
경제전문가들은 중국 관광객의 국내 소비를 안정적으로 확대하고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단순히 눈앞의 돈 벌이에 급급했다가는 ‘황금알을 낳는 거위의 배를 가르는 격’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외국인 관광객들의 발길을 이끈 근원인 ‘한류’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에 대한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박문수 산업연구원 서비스산업연구실 연구위원은 “중국인 관광객 증가에 따른 효과를 관련 산업으로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시장 창출’과 ‘시장 관리’, ‘시장 확대’의 3단계 활용전략이 필요하다”며 “이를 일시적 효과에 그치지 않고 산업 전반에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저가관광 구조에서 관광상품의 고부가가치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연구위원은 “중국인 관광객의 핵심 목적은 쇼핑인데, 쇼핑 장소가 면세점이나 서울 등 소수 지역에 한정돼 있어 전통시장이나 소상공인, 중소기업 등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고르게 확대되지 못하고 있다”며 “쇼핑상품은 물론 쇼핑관광 지역의 다변화를 통해 시장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와 함께 경제전문가들은 중국을 핵심으로 한 아시아 지역 관광객 증가에는 ‘김수현 효과’같은 한류 스타의 영향이 크다고 분석했다. 스타 한명에 의존하는 시장 시스템에선 리스크가 커질 수밖에 없다. 스타의 작은 실수가 치명적일 수 있는 만큼, 단순 홍보수단을 넘어 관광자원에 대한 개발과 홍보로 안정화 단계에 진입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백다미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한류의 확산과 진화를 통해 ‘한류 3.0시대’를 본격화해야 한다”며 “한류를 문화산업 전반으로 확대하고 차별화된 대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는 동시에 한류 콘텐츠의 보편성을 강화해 한류 현상의 글로벌 스탠더드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백 연구원은 이어 “기존에 소개된 유명 명소에 대한 단순 홍보를 넘어서 우수 관광 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영상 매체 등을 통해 소개하는 전략적 마케팅이 필요하다”며 “또 제조업 수출과 한류의 연계를 위해 한국 브랜드를 알리고 긍정적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확산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