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금리결정권 손에 쥔 이주열, 최경환에 화답할까?


입력 2014.07.18 15:35 수정 2014.07.19 10:13        이혜진 기자

이주열 한은 총재 18일 금융협의회서 “기준 금리는 금통위 결정 사항”

금리인하 신중론 보인지 이틀 만 재차 강조

18일 금융협의회에 참석한 이주열 총재. ⓒ연합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한은의 고유권한 지키기에 나섰다. 최경환 경제부총리가 내수부진을 위한 경기부양책의 하나로 금리인하 요구의 기대감을 드러낸 가운데 금리인하의 부정적 측면을 거론한 데 이어 금리 결정은 한은의 고유권한이라고 못 박았다.

이 총재는 18일 오전 한은 본관에서 열린 금융협의회에서 “최경환 경제부총리가 기준금리는 금통위 결정 사항이기 때문에 언급하지 않겠다고 말하지 않았느냐”며 “지금도 그 생각을 갖고 있으리라 본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지난 1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 “금리는 금통위가 결정할 사안이므로 공개적으로 말하기에는 부적절하지만 제 생각은 이미 시장에 전달됐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는 한은의 고유 업무인 통화정책에 개입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하면서도 우회적으로 압박을 가한 셈이다.

이 총재는 지난 16일 열린 한 언론사가 주최한 포럼에서 “금리인하로 부채가 늘어나면 중장기적으로는 소비 여력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고 말한 지 이틀 만에 재확인한 셈이다.

이날 자리에 참석한 은행장들은 철강·해운·건설업종 등의 부진이 이어지면서 일부 중소협력업체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내수 진작을 위해서는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높여야 해외로 눈을 돌린 기업들이 국내에 투자할 것이라고 의견을 모았다.

이 총재는 내수 부진에 대해 “예전에는 기상으로 인한 농업생산과 물가를 걱정했다면 이제는 이것이 소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먼저 생각하게 된다”며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언급했다.

그는 “7월 경제전망에서 숫자를 크게 수정하지 않았지만 세월호 사건의 여파를 감안하다보니 전체 수치가 낮아졌다”며 “성장 내역을 보면 소비가 많이 위축되면서 순수출 기여는 늘어나고 소비(기여)는 줄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편 이날 협의회는 국민·우리·신한·기업·농협·수협·산업·수출입·외환·씨티·SC은행 등 11개 은행의 은행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약 1시간 30분가량 진행됐다.

이혜진 기자 (hattcha@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이혜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