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 세월호 국조서 "제주 VTS 교신내역 조작" 의혹 제기
김현 "해수부 녹음안된다던 21번 채널, 구조활동 한 것처럼 조작"
세월호 참사 원인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이틀째인 1일, 야당이 제주 VTS의 교신 내역에 대해 조작 의혹을 제기했다.
김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이날 오후 세월호 국정조사에서 “세월호 사고 직후 실시된 제주 VTS와 세월호 간 녹음되지 않았던 교신내역이 조작됐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해양수산부가 관장하는 제주 VTS는 세월호 참사 당일인 4월16일 오전 8시55분부터 9시5분까지 총 10분간 세월호와 최초 교신했으며, 이후 세월호는 진도 VTS와 교신을 실시했다.
김 의원은 “지금까지 제주 VTS가 공개한 교신녹취록이 사실인 것처럼 알려져 있었지만, 지난 13일 유가족대책위가 제주 VTS에 대해 증거보전을 신청하는 과정에서 제주 VTS가 공개한 녹취록 중 9시부터 9시4분 사이의 교신내역은 녹음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어 제주 VTS가 해당 교신녹취록을 바탕으로 작성한 무선통신일지를 PPT화면으로 공개한 후, “해수부에서 ‘21번 채널은 녹음되지 않는다’고 했는데, 일지에는 21번 채널로 당시 인명들에게 구명조끼착용과 퇴선 대비를 지시한 걸로 작성되어있다”면서 “우측 항행정보란에 마치 끼워 맞추듯 써져있는 것을 확인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즉, 제주 VTS가 당시 구조 활동을 하지 않았음에도 사고 후 추가로 구조 활동을 한 것처럼 조작해 이를 토대로 녹취록을 작성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강상보 제주 VTS 센터장은 “아니다. 우리는 처음부터 그렇게 알고 있었다. 조작, 은폐 의도는 전혀 없다”면서 “의원님이 허락해주시면 제주 VTS의 당시 상황을 말하겠다”고 답했지만, 김 의원은 “누가 그때 상황을 말하라고 했느냐”며 언성을 높였다.
또한 김 의원은 “9시5분 무선통신일지에는 ‘해경과 완도 VTS 연락 취했으니 대기’라고 적혔지만, 교신 녹취록에는 무선통신일지에는 없는 진도 VTS가 적시돼 있다“라며 ”진도와 통화를 안했으면서 마치 통화 한 것처럼 대화내용을 적었지 않느냐“고 질타했다.
이에 제주 해양관리단장은 “당시 김진 관제사가 진도와 통화를 시도 중이라는 의미로 이야기를 했다”며 “실제로 그런 의미로 통화를 하고 있으니 잠시 대기하라는 말이었지 절대 감춘 게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그러자 김 의원은 “언론에서 진도 VTS 통화내역이 없다는 사실을 확보했다고 하니까 6월18일에야 부랴부랴 해사 안전국에서 진실을 발표, 배포한 것 아니냐”며 “진도를 완전히 배제하고 완도와만 연락을 취하는 게 말이 되느냐“고 상기된 표정으로 말했다.
한편 정진후 정의당 의원은 이날 질의에서 이주영 해수부장관을 향해 “제주 VTS가 상황을 받았으면 관제 구역인 진도VTS에 가장 먼저 알렸어야했다”면서 “이런 위기의식으로 어떻게 재난을 대응하겠다는 거냐”라고 꼬집었다.
정 의원은 이어 “국내 연안의 VTS 17개 중 진도와 여수는 해경이, 나머지 15곳은 해수부가 관할하고 있다”면서 “상황전파가 이렇게 늦어서야 되겠느냐. 어떻게 조치하겠다는 건가”라고 물었다.
이에 이 장관은 “책임을 통감한다”면서 “제주 VTS는 진도에 상황을 늦게 전파했다. 잘못이 확인되면 이에 맞게 조치할 것”이라고 답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