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구 박영선 덕담은 끝, 누가 더 날선 검을 드나?
원구성 위한 원내대표간 수석부대표간 협상 난항
박영선 "인내 한계" 하자 이완구 "화나도 웃겠다"
하반기 국회 원구상을 위한 여야 원내대표단간 실무협상이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와 박영선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는 16일 두 번째 주례회동을 갖고 원내 현안들을 주제로 대화를 나눴으나 이렇다 할 결론을 도출하지 못했다. 오히려 세월호 국정조사의 기관보고 일정 등을 놓고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출하며 향후 의사일정 진행에 있어서 험로를 예고했다.
이에 앞서서는 김재원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와 김영록 새정치연합 원내수석부대표가 실무협상을 가졌으나, 상임위원회 내 법안심사소위원회 복구 구성 등 쟁점 사안들을 둘러싼 이견만 확인하는 데 그쳤다.
이완구 “화나도 웃겠다” 박영선 “인내심 한계”
이 원내대표와 박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새정치연합 원내대표 집무실에서 주례회동을 가졌다. 전주 첫 회동 때와 마찬가지로 시작은 덕담이었다.
하지만 박 원내대표가 새누리당의 협상 태도를 지적하면서부터 회동은 양 원내대표간 신경전으로 뒤바뀌었다. 박 원내대표는 “우리 새정치연합 입장에서 인내의 한계에 왔다”면서 “과연 새누리당이 원구성 협상을 서두르고, 국회 운영을 제대로 할 생각이 있는지에 대한 진정성이 의심이 간다”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어 “새누리당이 어머니와 같은, 아버지와 같은 심정으로 이제는 포용을 할 때가 되지 않았나 생각한다”면서 “이 원내대표가 항상 포용하려고 굉장히 노력하는 걸 내가 잘 이해하고 있지만 웃음 뒤에 숨겨져 있는...(다른 무엇인가 있는 것 같다.) 그 뒷말은 생략하겠다”고 비판을 이어갔다.
이에 이 원내대표는 멋쩍은 웃음을 보이며 “정치란 여백의 미다. 지금까지 정치사를 보면 너무 각박했다. 서로가 서로를 몰아붙이고 사생결단하는 모습들이 많이 보였다”면서 “(내) 태생이 충청도라 조금 느리다. 조금 여유롭게 여백을 남기자고 해서 여유롭게 하자고 하는 것”이라고 받아쳤다.
이 원내대표는 그러면서 “우리는 집권여당이기 때문에 가능한 한 양보하고, 가능한 한 배려하는 스탠스를, 조금 짜증나고 화나도 웃겠다. 박 원내대표가 거친 말을, 심한 말을 해도 끝까지 나는 웃음으로 박 원내대표를 모시고 성숙된 국회, 선진화된 국회, 여유가 흐르는 국회를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박 원내대표가 세월호 국정조사를 언급하면서부터는 신경전이 갈등으로 번졌다.
박 원내대표는 여야가 요구하는 기관보고 일정이 달라 6월 30일과 7월 4일 사이에 기관보고를 실시하자는 유가족들의 제안을 받아들이기로 했다면서 “그런데 조금 전에 김현미 새정치연합 간사의 이야기를 들어보니까 조원진 새누리당 간사가 6월 23일부터 하자고 말을 바꿨다. 굉장히 화가 났더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원내대표는 “우리 생각은 빨리빨리 진행해서 정말로 진정한 의미의 진상조사위원회를 만들어서, 미국에서는 2년 동안 250만 페이지의 각종 보고서가 나오지 않았느냐. 정말 철두철미한 보고서를 원한다”면서 월드컵 일정과 별개로 가능한 일찍 기관보고를 실시해야 한다는 기존 방침을 재확인했다.
이에 박 원내대표가 가족들의 중재안에 따를 것을 요구하자 이 원내대표는 “가족들이 날짜까지 잡아와서... 그건 좀 그렇다”면서 불편한 기색을 내비쳤다. 이후 박 원내대표가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의 자질 논란을 언급하려 하자 이 원내대표는 “그만, 그만. 여기까지만 하자”면서 회동을 비공개로 전환했다.
예결위 상시 운영에만 합의…쟁점 협의는 제자리걸음
원내대표 회동에 한 시간여 앞서서는 양당 원내수석부대표가 국회에서 만나 원구성을 비롯한 원내 현안들을 주제로 논의를 가졌으나,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상시 운영 외에 어떤 합의도 도출하지 못했다. 그나마 예결위 상시 운영도 정의화 국회의장의 중재에 따라 사실상 원내대표 차원에서 합의된 사안이었다.
여야간 의견이 갈리는 대표적인 사안은 상임위 내 법안심사소위원회 복수 구성과 상시국정감사, 정보위원회 일반 상임위화 등이다.
특히 법안소위 복수 구성과 관련해서는 새누리당 상임위 간사단이 강하게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정치연합의 주장은 여러 부처를 관할하는 상임위의 소위를 분야별로 쪼개자는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상임위에서 소위원장을 새누리당이 맡고 있어, 야당안이 관철되면 여당의 입법 주도권이 약화된다.
이밖에 상시국감은 대기업과 재벌 총수의 증인 채택을 제한하는 문제를 놓고, 정보위 일반 상임위화는 연계 법안 처리 문제를 놓고 각각 갈등을 겪고 있다. 정보위 일반 상임위화의 경우, 새누리당은 지난 2월 합의된 통신비밀보호법 개정안 처리 등을 선행조건으로 요구하고 있다.
한편, 지난달 19일 개회한 5월 국회 임시회는 오는 17일 종료된다. 5월 임시국회는 원구성이 지연되면서 회기의 절반 이상이 상임위 전체회의 한 번 열리지 않은 채 지나갔다. 이달 중으로도 원구성이 완료되지 않을 경우, 2개월에 걸친 임시국회가 ‘식물국회’로 끝날 수밖에 없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