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태 "김기춘? 청와대 인적쇄신 예외 안돼"
안대희 낙마에 청와대 인사시스템 실패 '분석'
안대희 국무총리 내정자가 총리 지명 6일만에 전격 사임하면서 김기춘 비서실장의 인사 실패에 대해 새누리당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이번에는 김 실장도 청와대 개편 작업에서 비켜나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김성태 새누리당 의원은 29일 평화방송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국정쇄신의 의지를 국민들 앞에 분명히 보여주기 위해서는 내각과 비서진의 전면개편이 그 첫걸음이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김기춘 비서실장의 사퇴에 대해서도 “엄정한 국민들의 시선에서 어느 누구도 정부나 청와대 인사개편, 인적쇄신에 있어서 예외가 있어서는 안 된다”며 “국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과감한 결단이 필요하다. 침체된 읍참마속의 전면적이고 철저한 인적쇄신을 단행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이미 야당에서는 김 실장을 이번 인사 실패의 최대 원인으로 지목하고 비판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박광온 새정치민주연합 대변인은 전날인 28일 국회 브리핑에서 “인사 추천과 검증을 책임지고 있는 김 실장은 이 사태에 대해서도 책임을 져야 한다”며 “사퇴해야 할 이유가 하나 더 늘었다”고 밝혔다.
김한길 공동대표도 기자들에게 보낸 휴대전화 문자에서 “인사검증 시스템의 무능을 또 한 번 드러낸 거 아니겠나”라고 했다.
이는 안 내정자의 사임과 관련해 청와대 인사시스템의 중심에는 인사위원회 위원장을 겸하고 있는 김 실장이 놓여 있기 때문이다. 김 실장은 결국 인사검증 과정에서 국민 정서상 이해하기 힘든 후보자를 사전에 거르지 못해 박근혜정부의 국정운영에 큰 부담감을 안겼다는 비판을 면키 어려워 보인다.
특히 일각에서는 김 실장과 홍경식 민정수석이 법조인 출신이라 이 정도의 ‘전관예우’는 별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을 것이란 말도 흘러나온다. 이는 정홍원 국무총리가 사퇴 의사를 밝힌 4주가 흘러 이뤄진 총리 지명이라 ‘전관예우’에 관한 사실관계를 모르기는 어려웠을 것이란 관측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