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준비위원회 4월중 출범, 위원장은 박 대통령
위원장 포함 50인 이내 정부·민간위원으로 구성…산하 기획운영단·분과위 설치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달 경제혁신 3개년 계획 담화문을 발표하면서 구상을 밝힌 통일준비위원회의 위원장을 박 대통령이 직접 맡는다.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비서관은 14일 오전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통일준비위원회의 위원장은 대통령으로 하고, 위원장을 포함한 50인 이내의 정부 및 민간위원으로 구성하게 될 것이며, 정부와 민간에서 각각 한 명씩 두 명의 부위원장을 둘 예정”이라고 밝혔다.
주 수석에 따르면 정부위원으로는 기획재정부, 외교부, 통일부, 국방부 등 유관 중앙행정기관의 장관과 청와대의 외교·안보·통일 관련 정무직 공무원이 참여한다. 민간위원은 통일 관련 국책연구기관장, 관련 분야의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들 가운데 위원장이 위촉할 예정이다.
위원장과 부위원장 산하에는 사무국 기능을 포함하는 기획운영단과 분야별 분과위원회가 설치된다. 기획운영단은 부위원장과 각 분과위원장으로 구성된다. 더불어 위원장 직속으로는 통일 준비 과정에 있어서 다양한 의견이 수렴될 수 있도록 자문단이 설치·운영된다.
주 수석은 “통일준비위는 앞으로 통일 준비를 위한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제반분야별 통일 준비 과제를 발굴·연구하는 등의 기능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며 “또한 통일에 대한 세대 간 인식 통합과 사회적 합의를 촉진하고, 정부기관과 사회단체, 연구기관 간 협력을 통해 통일 준비를 해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주 수석은 “통일은 분단의 극복을 넘어 한반도의 새로운 미래를 만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위원과 민간위원이 함께 협력해 내실 있는 통일 준비를 해나가도록 하겠다”면서 “또 그 과정에서는 시민 한 분, 한 분의 의견도 경청하고 각계각층 전문가들의 자문도 꾸준히 구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청와대는 이달 중으로 입법예고와 국무회의 의결, 대통령령 공포 등의 절차를 거쳐 통일준비위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을 마련하고, 위원 위촉 등 위원회 출범을 위한 준비를 차질 없이 진행해 다음달 중으로 위원회를 정식 출범시킬 방침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