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가계대출 규모도 증가세 전환…1월 2조2000억 감소세에서 2월 1조3000억 증가세로 전환
지난 2월중 주요 금융기관의 수신규모가 6개월 내 가장 큰 폭으로 불어났다.
1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4년 1월중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지난 2월중 은행 수신규모가 11조7000억 원 불어났다. 지난 1월 은행의 수신 규모 증가폭은 1조3000억 원 수준이었다.
이는 지난해 8월 은행 수신 증가폭이 15조5000억 원 기록한 이후 반년 만에 가장 큰 증가폭을 보인 것이다.
2월 중 은행 수신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은 수시입출식 예금이 2조7000억 원 감소세에서 5조4000억 원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 크게 기인했다. 수시입출식 예금은 지자체 및 기업 자금이 유입되면서 큰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기예금 증가폭도 1월 3조7000억 원에서 2월 5조4000억 원으로 늘어났다. 은행채도 6000억 원 감소세에서 1조2000억 원 증가세로 전환됐다.
2월 중 은행의 기업에 대한 대출은 연초의 연말 일시상환분 재취급, 부가세 납부 수요 등 계절적 요인이 소멸하면서 전월보다 증가폭이 축소됐다. 1월 기업대출은 10조9000억 원의 증가세를 보였지만 2월에 들어서는 증가폭이 4조2000억 원으로 줄어들었다.
특히 대기업에 대한 대출이 큰 폭으로 축소됐다. 대기업 대출은 1월 6조4000억 원 증가세에서 2월 1조7000억 원 증가세로 증가폭이 줄어들었다. 일부 구조조정기업 대출의 출자 전환이 가세하면서 큰 폭으로 축소된 것이다.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도 4조5000억 원에서 2조5000억 원으로 규모가 줄어들었지만 예년 수준을 상회하는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했다.
은행의 가계대출은 감소세에서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지난 1월 은행의 가계대출은 2조2000억 원 감소세를 기록했지만 2월에 접어들면서 1조3000억 원 증가세로 전환됐다.
이사철의 영향과 재건축관련 규제 및 수도권 주택 전매제한 완화 등 규제가 완화돼 주택거래가 늘어난 것이 은행의 가계대출을 늘린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